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6번 문제 해설이다.
16. ㉠~㉤에서 언급된 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문무백관으로부터 군인, 한인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등급에 따라 모두 토지를 주고 또 땔나무를 베어낼 땅을 주었는데, 이를 ㉠전시과(田柴科)라고 하였다. 한편 ㉡부병(府兵)은 나이 20세가 되면 토지를 받고 60세가 되면 다시 바쳤다. 또 ㉢공음전시와 ㉣공해전시도 있었다. ㉤고려 후기에는 관리들의 녹봉이 적다고 하여 경기 각 고을의 토지를 나누어 주었다.
-『고려사』- |
① ㉠-매매, 상속, 증여가 가능하였다.
② ㉡-역이 세습되면 그 자손에게 지급하였다.
③ ㉢-현직에서 물러나면 국가에 반납하였다.
④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다.
⑤ ㉤-5품 이상의 관리를 대상으로 지급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고려 전시과 제도에 대한 내용이다.
① ㉠-매매, 상속, 증여가 가능하였다.
전시과는 관직 복무와 직역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었으므로 토지를 받은 자가 죽거나 관직에서 물러날 때에는 토지를 국가에 반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역이 세습되면 그 자손에게 지급하였다.
군인전은 군역의 대가로 주는 토지로, 군역이 세습됨에 따라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현직에서 물러나면 국가에 반납하였다.
문벌 귀족의 세습적인 경제적 기반이 되었던 것은 공음전이었다. 공음전은 5품 이상의 관료가 되어야 받을 수 있는데, 자손에게 세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다.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은 내장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5품 이상의 관리를 대상으로 지급하였다.
품계의 제한이 없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