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영어의 동사는 주어의 인칭·단/복수, 시제(tense), 태(voice), 상(aspect), 법(mood)에 따라 형태가 변화된다. 또한 동사가 분사(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동명사(gerund)로 사용될 때도 마찬가지로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동사가 여러 모습으로 변할 때 일정한 … 더 읽고 싶어요
일반 동사가 -ing 또는 -ed(불규칙 동사는 -en, -ght 등 다양함)로 끝나는 형태가 되어 동사 구조(진행형, 완료, 수동태), 형용사, 부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을 분사(participle)라고 한다.
분사(participle)라는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 participium에서 왔다. 이 단어는 영어로 공유(sharing), 참가(participation)를 … 더 읽고 싶어요
will은 조동사다. 주어의 인칭에 관계 없이 원형 그대로 will로 사용된다. 또한 문장 안에서 일반동사 앞에 위치하며 will 다음에는 원형부정사(=동사원형)가 온다.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사용될 때에는 조동사 do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will은 대명사 주어 다음에 ‘ll로 축약될 수 있다. … 더 읽고 싶어요
wish는 바라다, 희망하다 등의 뜻으로 사용되는 동사일 뿐만 아니라 소망, 소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이기도 하다.
wish가 동사로 사용될 때 다양한 형태와 용법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 문서에서는 wish가 동사로 사용될 때 다양한 표현법에 대해 알아본다.… 더 읽고 싶어요
조건문(conditional sentence)은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선행하는 또 다른 사건이나 상황의 발생에 달려있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어에서의 조건문은 조건절과 주절로 구성된다. 조건절(conditional clause)은 조건(condition)을 표현하는 절로 문장에서 종속절(dependent clause) 역할을 한다. antecedent(선행) 또는 … 더 읽고 싶어요
It’s time ~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어떤 일이 발생할 시기라거나 또는 이미 발생했어야 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순히 It’s time이라고 하여 ‘~할 시간이다’, ‘~할 때다’라고만 해석하기에는 불충분하고 까다로운 표현이다.
It’s time 다음이 to부정사 형태가 오면 현재나 미래에 ‘어떤 … 더 읽고 싶어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는 일반동사를 도와서 일반동사로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조동사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일반동사가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런데 이들 조동사 중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지만 우리말로 해석되면서 같은 의미로 표현되는 것이다. 바로 … 더 읽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