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의 영문법] must, have to, should, ought to, had better – 조동사 비교

개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는 일반동사를 도와서 일반동사로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조동사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일반동사가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런데 이들 조동사 중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지만 우리말로 해석되면서 같은 의미로 표현되는 것이다. 바로 … 더 읽고 싶어요

[진리의 영문법] 가정법(subjunctive mood) – 주장 요구 제안 명령 동사 + should

접속사 if를 사용하는 가정법에 대해서는 이곳을 참조.

개요

인도유럽어족 언어 계열인 영어(English)에는 문장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동사의 어형 변화인 서법(grammatical mood)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더 이상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그냥 넘어가자. 깊이 들어가면 끝이 없다. 더 읽고 싶어요

[진리의 영문법] 준조동사 had better

개요

had better는 준조동사다. had better는 흔히 아는 조동사 may, can, must, will, should처럼 본동사가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본동사 앞에 위치한다. 그렇지만 have의 과거형인 had와 good의 비교급인 better가 결합하여 had … 더 읽고 싶어요

[진리의 영문법] 조동사 should / ought to

개요

Should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다.

조동사 should는 shall의 과거형이다.

Shall은 미래를 표현하거나 명령, 예언, 조언 구하기, 제안하기 등을 표현하는데 주어의 인칭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사용법이 엄격하여 현대 영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Should가 shall의 과거형이라고 해서 의미 역시 과거를 … 더 읽고 싶어요

[진리의 영문법] 조동사 must (feat. have to)

개요

조동사 must는 확신과 의무를 표현한다. 흔히 해석되는 ‘~임에 틀림 없다‘라는 확신과 ‘~해야 한다‘는 의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must가 서로 다른 2가지의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며, 조동사라는 문법적 한계를 비슷한 의미의 have … 더 읽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