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개요
will은 조동사다. 주어의 인칭에 관계 없이 원형 그대로 will로 사용된다. 또한 문장 안에서 일반동사 앞에 위치하며 will 다음에는 원형부정사(=동사원형)가 온다.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사용될 때에는 조동사 do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will은 대명사 주어 다음에 ‘ll로 축약될 수 있다. … 더 읽고 싶어요
will은 조동사다. 주어의 인칭에 관계 없이 원형 그대로 will로 사용된다. 또한 문장 안에서 일반동사 앞에 위치하며 will 다음에는 원형부정사(=동사원형)가 온다.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사용될 때에는 조동사 do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will은 대명사 주어 다음에 ‘ll로 축약될 수 있다. … 더 읽고 싶어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는 일반동사를 도와서 일반동사로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조동사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일반동사가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런데 이들 조동사 중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지만 우리말로 해석되면서 같은 의미로 표현되는 것이다. 바로 … 더 읽고 싶어요
조동사 must는 확신과 의무를 표현한다. 흔히 해석되는 ‘~임에 틀림 없다‘라는 확신과 ‘~해야 한다‘는 의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must가 서로 다른 2가지의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며, 조동사라는 문법적 한계를 비슷한 의미의 have … 더 읽고 싶어요
may와 might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다. 조동사는 단독으로는 쓰일 수 없어, 본동사(main verb)와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조동사는 말 그대로 도와주는 동사라는 뜻이다. 따라서 조동사는 본동사로만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may와 might는 현재나 미래에 … 더 읽고 싶어요
can과 could는 조동사(modal auxiliary verb)다. 조동사는 단독으로는 쓰일 수 없어, 본동사(main verb)와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조동사는 말 그대로 도와주는 동사라는 뜻이다. 따라서 조동사는 본동사로만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can과 could는 어떤 사람이 … 더 읽고 싶어요
have라는 동사는 단순히 가지다라는 의미로만 사용되지 않는다.
가지다라는 뜻 이외에 행위, 경험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조동사로써 완료 시제를 구성하는 데에 필수 요소로 활용된다. 또한 사역동사의 역할을 하여 주어가 목적어에게 무엇을 하게 하는지 … 더 읽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