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6번 해설 – 친영 제도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16번 문제 해설이다.

 

16. 그림은 18세기 후반 양반가의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각 공간에서 했음직한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대부는『주자가례』에 따라 가묘를 두어야 하느니라.

② ㉡-양반가 규수는『내훈』과『삼강행실도』를 읽어야 하느니라.

③ ㉢-아랫마을 김서방이 소작료로 낸 곡식을 여기 두어라.

④ ㉣-딸과 사위가 앞으로 계속 살 곳이니 잘 단장해 놓아라.

⑤ ㉤-양인 아내를 얻어 내 자식은 노비 신세를 면하게 해야지.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④ ㉣-딸과 사위가 앞으로 계속 살 곳이니 잘 단장해 놓아라.

조선 후기에는 부계 중심의 가족 제도가 더욱 강화되었다.

혼인 후에 여자가 곧바로 남자집에서 생활하는 친영 제도가 많아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