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18번 문제 해설이다.
18. 밑줄 친 ‘여러 정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사림이 조정에 참여하여 공론이 실행되면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사림이 조정에 없어 공론이 헛되이 되면 나라가 어지러워진다. …… 지난 기묘년에 사림이 여러 정책을 추진하면서 공론을 지켜나갔는데, 남곤·심정의 무리가 기회를 틈타 그들을 일망타진하였다.
-율곡전서- |
① 경연과 언관의 활동 강화
② 공신들의 위훈 삭제 추진
③ 인재 등용을 위한 현량과 실시
④ 공론 수렴을 위한 붕당 활성화
⑤ 도교 행사를 담당하는 소격서 폐지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에 대한 내용이다.
중종은 사림을 다시 등용하여 유교 정치를 일으키려 하였다. 당시 명망이 높았던 조광조가 중용되면서 천거제의 일종인 현량과를 통하여 사림이 대거 등용되었다.
조광조를 비롯한 당시의 사림은 경연의 강화, 언론 활동의 활성화, 위훈 삭제, 소격서의 폐지, 소학의 보급, 방납의 폐단 시정 등을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
① 경연과 언관의 활동 강화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공신들의 위훈 삭제 추진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인재 등용을 위한 현량과 실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공론 수렴을 위한 붕당 활성화
붕당의 활성화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때는 아직 붕당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도교 행사를 담당하는 소격서 폐지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20번 해설 – 고려시대 무역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9번 해설 – 고려 불교 건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8번 해설 – 기묘사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7번 해설 – 숙종 환국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6번 해설 – 친영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5번 해설 – 균역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4번 해설 – 조선 왕권 신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3번 해설 – 천주교 신유박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2번 해설 – 조선 후기 문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1번 해설 – 망이·망소이의 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0번 해설 – 조선 전기 수취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9번 해설 – 신라 삼국 통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8번 해설 – 향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7번 해설 – 고려 거란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6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5번 해설 – 마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4번 해설 – 삼국 시대 고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통일 신라 신문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칠정산 향약집성방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삼국 간의 항쟁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