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각 지역의 역사 – 기출 요약

간도

조선과 청은 1712년 백두산에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양국의 경계를 정하였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간도로 이주하는 조선인이 늘어나자 간도 귀속 문제가 발생했다.

대한 제국은 이범윤을 간도 관리사로 임명하여 간도에 파견한 후, 한인들을 보호하게 하고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였다(1903년).

을사늑약으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본은 1907년 간도에 간도 파출소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1909년 청과 간도 협약을 체결하여 만주의 철도 부설권, 탄광 개발권 등을 얻는 조건으로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하였다.

 

백두산 정계비

 

강진

강화도

고려 – 몽골 전쟁 당시 강화 천도. 고려궁궐 터.

병인양요신미양요 발생. 광성보. 정족산성.

청동기 시대 유적인 고인돌이 있다.

병자호란 때, 왕자외 비빈이 강화도로 먼저 피난하였으나 인조는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양명학의 학문적 체계를 수립한 정제두는 강화도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여 이광사 등 많은 제자를 길러 냈다(강화학파).

도교 행사로서, 참성단에서 일월성신에 제사 지내는 초제가 시행되었다.

정족산 사고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가 있었다.

연무당 – 강화도 조약이 최종 조인된 곳이다.

고려궁지 –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에 사용하던 궁궐터다.

 

고인돌

참성단

정족산성

광성보

고려궁지

연무당

 

개성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곳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선죽교 – 정몽주가 이방원에 의해 살해를 당한 곳이다.

선죽교

 

공민왕릉

 

만월대 – 고려의 궁궐터

 

개성공단

고려 첨성대

만적의 난

송상 – 조선 후기 사상

고려는 거란과의 전쟁 후에 당시 수도인 개경에 나성을 축조하였다.

 

거문도

갑신정변 이후, 조선 정부는 청의 지나친 내정 간섭에서 벗어나려고 러시아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에 대한 러시아의 세력 확장에 불안을 느낀 영국은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1885년).

 

경주

신라의 도읍지였다.

포석정 – 신라 시대에 왕과 신하가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토함산

불국사

 

석굴암

 

동궁과 월지(안압지)

 

분황사 모전 석탑

 

천마총천마도

 

첨성대

 

고창

읍성(모양성), 고인돌, 선운사

 

공주

백제 유적 – 공산성, 무령왕릉

무령왕릉 및 부장품

 

김해

전기 가야 연맹의 중심국인 금관 가야가 있었다.

 

논산

 

대구

 

독도

러일전쟁 중 일본은 한일 의정서를 빌미로 1905년 독도를 시마네현 소속으로 고시하였다.

 

마산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부산

부산항은 강화도 조약으로 개항되었다.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부여

백제 유적 – 낙화암, 부소산성, 계백 장군의 사당, 능산리(모양성) 고분군, 정림사지 5층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

 

서울

경복궁

경회루 – 경복궁의 연못에 있는 경회루는 다른 나라의 사신이 왔을 때 연회를 열던 곳이다.

경복궁 근정전

근정전

 

덕수궁,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백제 유적 – 몽촌토성, 풍납토성, 송파 석촌동 돌무지무덤

석촌동 돌무지무덤

 

서울 암사동 유적 – 구석기 시대 유적지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송파 산대놀이

낙성대 – 고려시대 귀주대첩의 영웅 ‘강감참’ 장군의 탄생지

낙성대

 

수원

수원 화성 – 조선 정조의 아버지 사도 세자의 묘인 현륭원이 있음.

 

안동

하회 마을, 병산 서원, 봉정사

후삼국 시대에 왕건이 견훤에게 패하여 부하인 신숭겸 등이 전사했다.

 

연천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지

 

영월

장릉, 청령포, 고씨 동굴

 

영주

용인

처인성 숭첩비 – 몽골이 고려를 침입했을 때, 몽골군 살리타를 용인 처인성에서 사살하였다.

 

완도

통일 신라 장보고 활동 지역

 

울산

김사미·효심의 난

 

원산

고구려 때 천정군이라고 하다가, 681년에 신라 영토로 편입되어 정천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태조가 용주로 개칭하였다가 뒤에 의주로 개칭하였다.

고려 공민왕 때 쌍성총관부 수복 지역

조선 태종 때 의천군, 세종 때 덕원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원산학사 – 1883년에 원산에 사립 교육 기관인 원산 학사가 설립되어 최초로 근대 교육을 했다.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어 개항하였다.

러시아 군함이 통상을 요구하다가 대원군의 거절로 돌아갔다.

철도가 개통되어 교통·운수가 크게 발달하였다.

원산 총파업 – 1929년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실행하였다.

원산 총파업

 

의주

조선 후기 중강 개시와 중강 후시.

조선 후기 사상인 ‘만상‘의 활동 지역.

경의선 철도 부설.

고려 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익산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인천

6.25 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을 지휘했던 맥아더의 동상이 있다.

 

제주

삼별초는 제주도에서 끝까지 몽골에 저항하였다.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4·3 사건이 일어났다.

 

진도

배중손이 이끈 삼별초는 장기전을 펴기 위하여 진도로 옮겨 용장성을 쌓고 저항을 계속하였다.

 

진주

임진왜란 당시, 진주에서 김시민이 이끄는 관민이 일본군을 물리쳤다(진주 대첩, 제1차 진주성 전투).

조선 후기, 임술 농민 봉기는 진주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는데, 농민들은 탐관오리와 토호의 탐학에 저항하여 한때 진주성을 점령하기도 하였다.

1923년 백정 출신들은 경상 남도 진주에서 형평사를 창립하고,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형평 운동을 펼쳐 나갔다.

형평 운동 포스터

 

청도

김사미·효심의 난

 

청주

흥덕사 – 현존 최고 금속 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

통일 신라 민정 문서

민정 문서(서원경(청주) 부근 촌락)

 

충주

충주 중원 고구려비

고려 시대 – 김윤후의 대몽 항쟁

조선 시대 –  임진왜란 당시 신립 장군의 탄금대 전투

조선 후기 – 을미의병 당시 유인석 의병장

평양

제너럴 셔먼호 사건

무신 정권 당시 ‘조위총의 반란’

고구려 궁궐 ‘안학궁’

물산 장려 운동 시작 지역

 

6·15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된 장소

 

함흥

진흥왕의 영토 확장

이성계 가문의 지역 기반

 

합천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