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8 제2회 지방직 7급 한국사 B책형 10번 문제 정답

문제

문 10. 다음의 시를 통해 추론한 당시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3월에 삼씨 뿌려 7월에 삼을 쪄서
닷새 동안 실 잇고 이어 열흘 동안 씻고 씻어
가는 손에 북을 들고 가는 베 짜냈더니
잠자리 날개 같아 한 줌 안에 담뿍 들 듯
아깝게도 저 모시, 남쪽 장사치에 다 주고
베 값이라 미리 받은 돈은 관청 빚에 다 털렸는데
베 짜는 저 아가씬 언제 보나 석새삼베
그나마 너무 짧아 정강이도 채 못 가리누나.

– 이계집 –

① <금양잡록>의 농법을 기본으로 한 자영농 중심의 자급자족 경제였다.

②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제품을 제작 공급하는 관영 수공업이 발달하였다.

③ 공장안(工匠案)에 등록된 장인들이 의무적으로 국역을 부담하기 시작하였다.

④ 상인이 자금과 원료를 미리 제공하여 상품을 생산하는 민영 수공업이 성행하였다.

 

 

 

 

 

 

 

 

 

 

 

 

참고: 조선 후기 민영 수공업 – 선대제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8년 제2회 지방직 7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