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문 4. 다음 제시문의 수취제도가 만들어질 당시의 농업 발달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각 도의 수전(水田), 한전(旱田)의 소출 다소를 자세히 알 수가 없으니, 공법(貢法)에서의 수세액을 규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지금부터는 전척(田尺)으로 측량한 매 1결에 대하여, 상상(上上)의 수전에는 몇 석을 파종하고 한전에서는 무슨 곡종 몇 두를 파종하여, 상상년에는 수전은 몇 석, 한전은 몇 두를 수확하며, 하하년에는 수전은 몇 석, 한전은 몇 석을 수확하는지, … 각 관의 관둔전에서도 과거 5년간의 파종 및 수확의 다소를 위와 같이 조사하여 보고하도록 합니다. |
ㄱ. 쌀의 수요가 늘면서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하였다.
ㄴ. 신속은 <농가집성>을 펴내 벼농사 중심의 농법을 소개하였다. ㄷ. 남부지방에서 모내기가 보급되어 일부 지역은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가능해졌다. ㄹ. 시비법의 발달로 경작지를 묵히지 않고 계속 농사지을 수 있게 되었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ㄷ, ㄹ
정답은 ③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11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 [한국사 기출] 2011 국가직 9급 한국사 인책형 1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11 국가직 9급 한국사 인책형 2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11 국가직 9급 한국사 인책형 3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11 국가직 9급 한국사 인책형 4번 문제 정답
한국사 시험 모음
- 경찰 순경 한국사 시험
- 경찰 간부후보생 한국사 시험
- 국가직 7급 한국사 시험
- 국가직 9급 한국사 시험
- 국회직 9급 한국사 시험
- 기상직 7급 한국사 시험
- 기상직 9급 한국사 시험
- 법원직 9급 한국사 시험
- 서울시 7급 한국사 시험
- 서울시 9급 한국사 시험
- 소방직 한국사 시험
- 소방 간부후보생 한국사 시험
- 의무소방원 한국사 시험
- 우정 9급 계리직 한국사 시험
- 지방직 7급 한국사 시험
- 지방직 9급 한국사 시험
- 지역인재 9급 한국사 시험
- 해경 순경 한국사 시험
- 해경 간부 한국사 시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