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역사 학습의 목적 – 기출 요약

역사의 의미

사실로서의 역사(history as past)

  • 과거에 있었던 사실
  • 객관적 의미의 역사
  • 실증주의 사관
  • 랑케 :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해야 한다.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 사실, 즉 시간적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어났던 모든 과거 사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역사는 바닷가의 모래알 같이 수많은 과거 사건들의 집합체가 된다.

 

기록으로서의 역사(history as historiography)

  •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
  • 주관적 의미의 역사
  • 상대주의 사관
  • 크로체 : 모든 역사는 현대사이다.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역사가가 이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주관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역사가의 가치관과 같은 주관적 요소가 개입하게 되며, 이 경우 역사라는 말은 기록된 자료 또는 역사서와 같은 의미가 된다.

 

역사 학습의 목적

역사 학습의 의미

1. 역사 그 자체를 배운다는 것은 과거 사실에 대한 지식을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2. 역사를 통하여 배운다는 것은 역사적 인물이나 사실들을 통하여 현재의 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과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 학습의 목적

첫째, 우리는 역사를 배움으로써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현재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지나온 과거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지금 서 있는 자신의 참모습을 찾지 못하게 된다.

둘째,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삶의 지혜를 습득할 수 있다. 현재는 과거의 연속이며 과거 없는 현재란 있을 수 없듯이, 역사를 배움으로써 현재 우리가 당면한 여러 문제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셋째, 우리는 역사를 배움으로써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을 기를 수 있다. 역사 학습은 역사적 사실의 외면에 대한 파악에서 시작하여 역사적 사실의 내면의 이해로 발전해 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역사적 사건의 보이지 않는 원인과 의도, 목적을 추론하는 역사적 사고력이 길러지게 된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