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려의 멸망 – 기출 요약

당시 상황

공민왕 때의 개혁 노력이 실패하자, 고려 사회의 모순은 더욱 심화되었다.

권문세족이 정치 권력을 독점하고 대토지 소유를 확대해 나가면서,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고 백성의 생활이 극도로 어려워졌다.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북쪽에서 홍건적이 침입하였고, 남쪽에서는 왜구의 노략질이 계속되었다.

이에 고려는 적극적으로 남과 북의 외적에 대한 토벌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최영과 이성계는 큰 전과를 올려 국민의 신망을 얻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명이 철령 이북의 땅을 차지하려 하자, 최영은 이성계를 시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다.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회군하여(1388년) 최영을 제거한 뒤,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여 본격적인 개혁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명의 철령위 설치

원이 쌍성총관부를 두어 지배하였던 철령 이북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명이 주장한 것이다.

 

과전법

이성계를 중심으로 모인 급진 개혁파(혁명파) 사대부 세력은 우왕과 창왕을 잇따라 폐하고 공양왕을 세운 후, 전제 개혁을 단행하여 과전법을 마련하였다.

이성계 일파는 정도전, 조준 등 신진 사대부 세력과 손잡고 본격적인 개혁에 착수하였다. 이들은 당시 사회 모순의 근원인 문란한 토지 제도를 바로잡기 위한 전제 개혁을 주요한 목표로 삼았다. 이들은 권문세족 등 구세력의 토지를 몰수하여 신진 관료들에게 재분배하는 과전법을 제정하였다.

 

과전법

공양왕 3년(1391년)에 실시된 토지 제도로, 조선 시대의 기본적인 토지 제도가 되었다.

 

고려 멸망

이성계와 급진 개혁파 사대부 세력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였다(1392년).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