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농민의 공동 조직
향도
농민은 일상 의례와 공동 노동 등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다졌다. 공동체 조직의 대표적인 것이 불교의 신앙 조직이었던 향도였다.
향도(香徒)
매향 활동을 하는 무리이다. 매향은 불교 신앙의 하나로, 미륵을 만나 구원받고자 향나무를 바닷가에 묻는 활동이다. |
사회 시책
농민 생활을 안정시키는 것은 국가 안정에 필수적이었으므로, 국가에서는 이를 위하여 여러 사회 시책을 펼쳤다.
농번기에 잡역을 면제하여 농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자연 재해를 입은 농민에게는 그 피해 정도에 따라 조세와 부역을 감면해 주었다.
고리대 때문에 농민이 몰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으로 이자율을 정하여 이자가 빌린 곡식과 같은 액수가 되면 그 이상의 이자를 받지 못하도록 하였다.
사회 제도
의창
평시에 곡물을 비치하였다가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의창이 있었다. 이는 고구려의 진대법과 유사한 것이었다.
상평창
개경과 서경 및 각 12목에는 상평창을 두어 물가의 안정을 꾀하여 백성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서 대비원
가난한 백성이 의료 혜택을 받도록 개경에 동⋅서 대비원을 설치하여 환자 진료 및 빈민 구휼을 담당하게 하였다.
혜민국
혜민국을 두어 의약을 전담하게 하였다.
구제도감·구급도감
각종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구제도감이나 구급도감을 임시 기관으로 설치하여 백성의 구제에 힘썼다.
제위보
기금을 마련한 뒤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를 설치하였다.
법률과 풍속
반역죄, 불효죄 등은 중죄로 다스렸다.
귀양형을 받은 사람이 부모상을 당하였을 때에는 유형지에 도착하기 전에 7일간의 휴가를 주어 부모상을 치를 수 있도록 하였다.
형벌로는 태, 장, 도, 유, 사 다섯 종류가 있었다.
장례와 제사에 관한 의례는 유교적 규범을 시행하려는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대개 토착 신앙과 융합된 불교와 도교의 풍속을 따랐다.
명절로는 정월 초하루,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등이 있었으며, 단오 때에는 격구와 그네뛰기 및 씨름을 즐겼다.
고려 형벌의 종류
태: 볼기를 치는 매질 장: 곤장형 도: 징역형 유: 멀리 유배 보내는 형 사: 사형으로, 교수형과 참수형의 두 가지가 있다. |
혼인과 여성의 지위
혼인
고려 시대에는 여자는 18세 전후, 남자는 20세 전후에 혼인을 하였다.
고려 초에 왕실에서는 친족 간의 혼인이 성행하였다. 중기 이후 여러 번의 금령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풍습은 사라지지 않았다.
혼인 형태는 일부일처제가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여성의 지위
부모의 유산은 자녀에게 골고루 분배되었으며, 태어난 차례대로 호적에 기재하여 남녀 차별을 하지 않았다.
아들이 없을 때에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지냈으며, 상복 제도에서도 친가와 외가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사
위가 처가의 호적에 입적하여 처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사위와 외손자에게까지 음서의 혜택이 있었다.
공을 세운 사람의 부모는 물론, 장인과 장모도 함께 상을 받았다.
여성의 재가는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고, 그 소생 자식의 사회적 진출에도 차별을 두지 않았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고려 백성의 생활 모습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고려 백성의 생활 모습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고려 백성의 생활 모습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고려 시대
- 한국사 이론 전체
- 고려 시대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