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30번 문제 정답

문제

다음은 2006년도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3급 30번 문제와 정답이다.

 

30. 자료에 제시된 수취 체제가 시행된 당시의 상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각도의 논밭에서 수확량의 많고 적음을 자세히 알 수가 없으니 공법(貢法)에서 수세액을 규정하기가 어렵다. 종래의 하등전 1결의 실적을 기준으로 할 때 상상(上上)의 논에는 몇 석을 파종하고 밭에서 무슨 곡종 몇 두를 파종하여, 상상년에는 논에서 몇 석, 밭에서 몇 석을 수확하며, 하하년에는 논에서 몇 석, 밭에서 몇 석을 수확하는지를 보고하도록 한다.

① 세종 때에 이 제도가 처음 실시되었다.

② 이전보다 농민의 조세 부담이 증가하였다.

③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었다.

④ 조세의 양은 풍흉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었다.

⑤ 상등전의 절대 면적이 하등전의 절대 면적보다 작았다.

 

 

 

 

 

 

 

 

 

 

 

참고: 조선의 수취 제도

정답은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6년도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