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번 문제 정답

문제

27. 다음과 같은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점]

붕당은 싸움에서 생기고 싸움은 이해관계에서 생긴다. 이해관계가 절실하면 붕당이 깊어지고, 이해관계가 오래될수록 붕당이 견고해지는 것은 당연한 형세이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 열 사람이 함께 굶주리고 있는데, 한 그릇의 밥을 같이 먹게 되면 그 밥을 다 먹기도 전에 싸움이 일어날 것이다. …… 조정의 붕당도 어찌 이와 다를 것이 있겠는가? …… 대개 과거 제도가 번잡하여 인재를 너무 많이 뽑으며 애증에 치우쳐서 진퇴가 일정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벼슬길이 분분하게 많으니, 이것이 이른바 관직은 적은데 과거에 응시한 사람은 많아서 모두 조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 …… 당파가 생긴 뒤로는 아무리 총명하여도 제대로 판단하기 어렵다. 중립을 지켜 시비를 가리는 자를 용렬하다고 하고, 붕당을 위해 죽어도 굽히지 않는 자를 절개가 뛰어나다고 한다. 또, 영예와 치욕이 갑자기 뒤바뀌니 사람들이 어찌 붕당을 만들어 싸우지 않겠는가?

– <곽우록> –

< 보 기>
ㄱ. 과거 시험 합격자의 출신 서원을 알아본다.

ㄴ.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한 원인을 조사해 본다.

ㄷ. 예송이나 환국과 관련하여 권력의 향방을 정리해 본다.

ㄹ. 세도 정치하에서 고위 관직에 올랐던 사람들의 출신 가문을 살펴본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ㄷ, ㄹ

 

 

 

 

 

 

 

 

 

 

 

 

참고: 조선 전기 붕당 정치, 조선 후기 붕당 정치와 탕평론의 대두

정답은 ②번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8년도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