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31번 문제 정답

문제

31. 다음 시의 내용과 관련된 사회 제도에 대한 질문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봄철에 좀먹은 것 한 말 받고〔春蠱受一斗〕
가을에 정미 두 말을 갚는데〔秋 二斗全〕
더구나 좀먹은 쌀값 돈으로 내라니〔況以錢代蠱〕
정미 팔아 돈으로 낼 수밖에〔豈非賣糳錢〕
남는 이윤은 교활한 관리 살찌워〔潘餘肥奸猾〕
환관 하나가 밭이 천 두락이고〔 一宦千頃畝〕
백성들 차지는 고생뿐이어서〔楚毒歸圭語〕
긁어 가고 벗겨 가고 걸핏하면 매질이라. 〔割剝紛翅鞭〕

① 방군수포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② 수미론이 대두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③ 결포론, 호포론, 유포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④ 허류(虛留), 반백(半白), 반작(反作)이란 무엇인가?

⑤ 공법에서 영정법으로 이행하는 과정은 어떠하였는가?

 

 

 

 

 

 

 

 

 

 

 

참고: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 – 환곡의 문란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8년도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