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19번 문제 정답

문제

19.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당시의 경제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우리나라는 동·서·남의 3면이 모두 바다이므로, 배가 통하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배에 물건을 싣고 오가면서 장사하는 장사꾼은 반드시 강과 바다가 이어지는 곳에서 이득을 얻는다. 전라도 나주의 영산포, 영광의 법성포, 흥덕의 사진포, 전주의 사탄은 비록 작은 강이나, 모두 바닷물이 통하므로 장삿배가 모인다. 충청도 은진의 강경포는 육지와 바다 사이에 위치하여 바닷가 사람과 내륙 사람이 모두 여기에서 서로의 물건을 교역한다.

– 〈택리지〉-

< 보 기 >
ㄱ. 포구의 과도한 성장으로 장시가 쇠퇴하였다.

ㄴ. 선상, 객주, 여각 등이 활발한 상행위를 하였다.

ㄷ. 농업 생산력의 발달에 힘입어 장시가 처음으로 출현하였다.

ㄹ. 대량의 물건 운송에는 육로보다는 수로를 많이 이용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참고: 조선 후기 포구에서의 상업 활동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8년도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