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0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0번 문제 해설이다.

 

10. (가)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과 연관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너희 나라는 개화라고 하면서 …… 군인을 서울에 진주시켜 밤중에 왕궁을 습격하여 우리의 임금을 놀라게 하였다 하니 …… 격분하여 의로운 군대를 규합하여 (가) .”

-「 전봉준 공초 」-

① 황토현에서 전라도 감영군을 물리쳤다.

② 서울에서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보은에서 ‘척왜양’을 내걸고 시위를 벌였다.

④ 정부군과 전투를 치르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⑤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동학 농민 운동 과정에서 농민군은 제1차 농민 봉기 후 정부와 전주 화약을 맺었다. 하지만 청일 전쟁이 발생하였다.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은 경복궁 점령을 통해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내정 간섭을 하였다.

이에 농민군은 제2차 농민 봉기하여 외세를 몰아내기 위해 서울로 진격하였다.

전봉준 공초 」는 제2차 농민 봉기에 대한 내용이다.

 

① 황토현에서 전라도 감영군을 물리쳤다.

황토현 전투는 제1차 농민 봉기 과정에서 치러진 전투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서울에서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교조 신원 운동은 제1차 농민 봉기 전에 발생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보은에서 ‘척왜양’을 내걸고 시위를 벌였다.

보은 집회는 제1차 농민 봉기 전에 발생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정부군과 전투를 치르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전주성 점령은 제1차 농민 봉기 과정에서 치러진 전투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제2차 농민 봉기에서, 논산에 집결한 농민군은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격전을 벌였으나, 근대 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패하여 큰 희생을 치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