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8번 해설 – 6·10 만세 운동

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8번 문제 해설이다.

 

18. 자료에 언급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순종 황제의 인산일이다. 서울 거리는 장례 행렬을 보려고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로 말 그대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창덕궁부터 영결식이 거행될 훈련원에 이르는 연도에는 구경꾼들이 모여들어 몇 겹으로 줄을 섰다. 그런가 하면 완전무장한 군인과 경찰이 모든 도로를 철통같이 지키고 있다. …… 학생들이 전단을 배포하며 만세를 불렀다. 그들은 즉각 체포되어 경찰서로 연행되었다.

-『 ○○○ 일기 』-

①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②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일어났다.

③ 학생들이 운동의 구심체 역할을 하였다.

④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시위를 벌였다.

⑤ 간도와 일본 지역의 학생들도 시위를 벌였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6·10 만세 운동에 대한 내용이다.

 

①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6·10 만세 운동이 아니라 3⋅1 운동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일어났다.

3⋅1 운동은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일어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학생들이 운동의 구심체 역할을 하였다.

순종의 인산 당일, 일제의 삼엄한 경비 속에서 행사에 참여하였던 학생들은 격문을 살포하고 독립 만세를 외침으로써 대규모의 군중 시위 운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시위를 벌였다.

3⋅1 운동 당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시위를 벌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간도와 일본 지역의 학생들도 시위를 벌였다. 

3⋅1 운동 당시 간도와 일본 지역의 학생들도 시위를 벌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