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6번 문제 해설이다.

 

6. 다음과 같은 항일 투쟁이 전개되던 시기의 의병 활동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군사장 허위는 미리 군사를 신속히 정돈하여 철통과 같이함에 한 방울의 물도 샐 틈이 없는지라. 이에 전군에 명령하여 일제히 진군을 재촉하여 동대문 밖 30리까지 진격하고 …… 그 목적은 서울로 들어가 통감부를 쳐부수고 …… 소위 한ㆍ일 신협약 등을 파기하고 대대적인 활동을 기도하기 위함이라.
< 보 기 >
ㄱ. 평민 의병장이 처음 등장하였다.

ㄴ. 전국 의병의 연합 부대가 결성되었다.

ㄷ. 군대 해산을 계기로 의병의 규모가 커졌다.

ㄹ. 국왕의 해산 권고에 따라 자진 해산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일제는 1907년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을 체결하여 한국 정부의 각 부에 일본인 차관을 두어 내정을 장악하였으며, 대한 제국 군대를 해산시켜 실질적으로 한국을 지배하였다.

정미의병 이후 1908년, 각지에서 의병 부대가 일본군과의 전투를 계속하는 과정에서 서울에서 일본군을 몰아 내야 한다는 주장이 일어나, 의병장 이인영을 총대장, 허위를 군사장으로 하는 13도 창의군을 편성하였다.

그 중 300명의 선발대는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으나, 일본군의 선제 공격을 받아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ㄱ. 평민 의병장이 처음 등장하였다.

평민 의병장이 등장한 것은 을사의병(1905년, 신돌석)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전국 의병의 연합 부대가 결성되었다.

전국 의병들이 연합하여 13도 창의군(1908년)이 결성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군대 해산을 계기로 의병의 규모가 커졌다.

군대가 해산되고, 시위대 제1대대장 박승환이 자결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 부대에 합류하면서 의병 부대는 보다 조직적인 활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또한 근대적인 무기를 갖추어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국왕의 해산 권고에 따라 자진 해산하였다.

국왕의 해산 권고에 따라 자진 해산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