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0번 문제 해설이다.

 

10. 그래프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인구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된 추론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가)-전란의 영향으로 통계 인구가 감소하였을 것이다.

② (나)-국가 재정 수입의 확대를 위해 공노비를 대규모로 해방시켰을 것이다.

③ (다)-호패법과 오가작통법을 실시하여 파악된 인구가 늘었을 것이다.

④ (라)-자연 재해와 수령의 수탈로 유망하는 인구가 많았을 것이다.

⑤ 국가의 인구 파악은 군역 부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① (가)-전란의 영향으로 통계 인구가 감소하였을 것이다.

임진왜란(1592년)과 병자호란(1636년) 등으로 통계 인구가 감소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나)-국가 재정 수입의 확대를 위해 공노비를 대규모로 해방시켰을 것이다.

공노비 해방은 조선 후기 순조 때인 1801년에 이루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다)-호패법과 오가작통법을 실시하여 파악된 인구가 늘었을 것이다.

조선 후기, 농민들의 향촌 사회 이탈을 막고 거주지에 묶어 두기 위하여 일종의 신분증인 호패를 착용하도록 하는 호패법을 다시 강화하고, 다섯 집을 하나의 통으로 묶어 상호 감시하게 하는 오가작통제를 강화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라)-자연 재해와 수령의 수탈로 유망하는 인구가 많았을 것이다.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에는 관직이 매매되는 등 비리가 만연하였으며, 탐관오리들의 부당한 조세 수탈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였다.

또한 자연 재해가 잇따르고 기근과 질병이 널리 퍼졌으며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국가의 인구 파악은 군역 부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태종은 호패법을 실시하여 전국의 인구 동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조세 징수와 군역부과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