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1번 문제 해설이다.
11. 다음은 어느 유적에 관한 인터넷 역사 정보 사이트의 설명이다. 이를 읽고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 |
① 갑:부여에 가면 이런 벽돌 무덤을 많이 볼 수 있을 거야.
② 을:무덤이 온전하게 보존된 것은 도굴이 어려운 구조 때문일 거야.
③ 병:껴묻거리를 많이 묻은 것을 보니 불교 수용 이전에 만들었을 거야.
④ 정:이 무덤이 만들어진 문화적 배경은 양나라에 파견된 사신 그림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어.
⑤ 무:화려한 왕관 장식을 보니 수도를 옮기고 나라를 중흥시킨 이 무덤 주인공의 위세가 느껴져.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백제 무령왕릉에 대한 내용이다.
① 갑:부여에 가면 이런 벽돌 무덤을 많이 볼 수 있을 거야.
벽돌 무덤인 백제 무령왕릉은 웅진 시기인 공주에 있다.
부여는 사비 시기로,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이 많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을:무덤이 온전하게 보존된 것은 도굴이 어려운 구조 때문일 거야.
벽돌 무덤은 도굴이 쉬운 구조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병:껴묻거리를 많이 묻은 것을 보니 불교 수용 이전에 만들었을 거야.
백제의 불교 수용은 4세기인 침류왕 때 이루어졌다.
무령왕은 6세기 때 왕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정:이 무덤이 만들어진 문화적 배경은 양나라에 파견된 사신 그림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어.
무령왕릉의 벽돌 무덤은 중국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무:화려한 왕관 장식을 보니 수도를 옮기고 나라를 중흥시킨 이 무덤 주인공의 위세가 느껴져.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를 옮기고 나라를 중흥시킨 왕은 백제 성왕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