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2번 문제 해설이다.
12. (가)에 들어갈 질문과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한국사신문 1392. 12.○○ 특집 – 새 왕조의 나아갈 길 이제는 본업(本業)으로! 기자: 왕도 정치를 표방하고 있는 새 왕조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민생 안정일 텐데요. 이를 이루기 위한 방안은 무엇입니까? 관리: 이전에는 상업이 성행하고 농사짓는 백성이 줄어들어 본업이 피폐하였습니다. 이제는 공상(工商)에 관한 제도를 마련하고 본업을 장려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겠습니다. 문답풀이 – 달라지는 생활 경제 |
① 문:인삼을 재배하고 있소. 중국에 인삼을 팔고 싶은데…
답:중강에서 열리는 후시를 이용하면 됩니다.
② 문:옹기를 파는 장사꾼이오. 한양에서 장사를 하고 싶소.
답:칠패나 이현 쪽에서 점포를 열면 됩니다.
③ 문:우리같이 땅 없는 백성들에게 달라지는 것이 무엇이오?
답:앞으로는 매년 정해진 액수의 소작료를 내면 됩니다.
④ 문:경기 지역에 사는 농부요. 내 땅에 과전이 설정되었는데…
답:생산량의 1/10을 수조권자에게 내면 됩니다.
⑤ 문:관청에 속해 기와를 만드는 장인이오. 이제 어찌하면 되오?
답:장인세만 내면 자유로이 물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1392년은 조선이 개국한 해이다.
① 문:인삼을 재배하고 있소. 중국에 인삼을 팔고 싶은데…
답:중강에서 열리는 후시를 이용하면 됩니다.
후시는 조선 후기 중국, 일본 등을 상대로 공적으로 열었던 대외 교역 시장이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문:옹기를 파는 장사꾼이오. 한양에서 장사를 하고 싶소.
답:칠패나 이현 쪽에서 점포를 열면 됩니다.
18세기 조선 후기 이현(동대문 안), 칠패(남대문 밖) 등 도성 주변에서 사상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문:우리같이 땅 없는 백성들에게 달라지는 것이 무엇이오?
답:앞으로는 매년 정해진 액수의 소작료를 내면 됩니다.
조선 전기, 양반이 자신의 토지의 규모가 커서 노비의 노동력만으로 경작할 수 없으면 그 주변 농민들에게 생산량을 절반씩 나누어 가지는 병작반수의 형태로 소작을 시켰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문:경기 지역에 사는 농부요. 내 땅에 과전이 설정되었는데…
답:생산량의 1/10을 수조권자에게 내면 됩니다.
수조권자는 스스로 그 해의 생산량을 조사하여 과전법의 경우 10분의 1을 농민에게 세금으로 거두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문:관청에 속해 기와를 만드는 장인이오. 이제 어찌하면 되오?
답:장인세만 내면 자유로이 물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민간 수공업자들은 장인세만 부담하면 비교적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