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4번 문제 해설이다.
14.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당시의 사회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충렬왕 24년 정월에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근래에 양민을 강압하여 천인으로 만드는 예가 많으니 해당 관리는 문건이 없거나 위조한 자를 조사하여 처벌하라. …(중략)…양반의 노비는 주인 집 부역이 따로 있다 하여 예로부터 공역(公役)이나 다른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다. 지금 양민이 세력 있는 집으로 들어가서 그 공역을 피하고 있으니 이제부터는 이런 일이 일절 없도록 하라.”
-『고려사』- |
① 권세가의 사노비가 증가하고 있었다.
② 농민들은 스스로 노비가 되기도 하였다.
③ 이러한 현상은 전민변정도감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④ 양민의 수가 감소하여 조세 수입이 줄어들고 있었다.
⑤ 양천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신분제가 강화되고 있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고려 후기, 공민왕이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게 된 배경이다.
① 권세가의 사노비가 증가하고 있었다.
원의 간섭 시기 권문세족은 양민을 억압하여 노비로 삼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농민들은 스스로 노비가 되기도 하였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이러한 현상은 전민변정도감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양민의 수가 감소하여 조세 수입이 줄어들고 있었다.
노비의 증가는 양민의 감소로 이어져 국가 재정의 궁핍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양천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신분제가 강화되고 있었다.
양천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신분제가 강화되었던 시기는 조선 시대의 사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