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5번 문제 해설이다.

 

15. 밑줄 친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왕은 행차 때면 길에 나온 백성들을 불러 직접 의견을 들었다. 또한 척신 세력을 제거하여 정치의 기강을 바로잡았고, 당색을 가리지 않고 어진 이들을 모아 학문을 장려하였다. 침전에는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이라는 편액을 달았으며, “하나의 달빛이 땅 위의 모든 강물에 비치니 강물은 세상 사람들이요, 달은 태극이며 그 태극은 바로 나다.”라고 하였다.

① 병권 장악을 위해 금위영을 설치하였다.

②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붕당을 번갈아 등용하였다.

③ 능력 있는 신하들을 뽑아 스승의 입장에서 재교육시켰다.

④ 의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현명한 재상에게 정치를 맡겼다.

⑤ 백성이 억울한 사정을 호소할 수 있도록 신문고를 설치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선 정조에 대한 내용이다.

 

① 병권 장악을 위해 금위영을 설치하였다.

금위영은 숙종 때 추가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붕당을 번갈아 등용하였다.

숙종은 환국을 통해 남인과 서인을 번갈아 등용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능력 있는 신하들을 뽑아 스승의 입장에서 재교육시켰다.

정조는 스스로 초월적 군주로 군림하면서 스승의 입장에서 신하들을 양성하고 재교육시키려 하였다.

특히 붕당의 비대화를 막고 자신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신진 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에서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 제도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의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현명한 재상에게 정치를 맡겼다.

세종 때 일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백성이 억울한 사정을 호소할 수 있도록 신문고를 설치하였다.

태종 때 일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