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18번 문제 해설이다.

 

18. 다음과 같은 문화 의식을 가진 세력이 집권하던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3점]

○ 오방(五方)의 풍토가 서로 달라 심고 가꾸는 법도 각기 차이가 있으니, 전해진 책에 모두 의존할 수는 없다. …(중략)… 이에 여러 고을의 나이든 농부를 찾아 농사 경험을 듣고, 그 중 필요한 것만 뽑아 책으로 엮는다.

○ 우리나라의 글은 송∙원의 글도 아니고, 또한 한∙당의 글도 아니며, 바로 우리나라의 글인 것입니다. 마땅히 중국 역대의 글과 나란히 천지 사이에 행하게 하여야 할 것입니다.

① 참성단에서 일월성신에 대한 제사가 거행되었다.

② 동의보감이 간행되어 의학 발전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③ 우리의 자연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화풍이 발전하였다.

④ 백리척을 사용한 정밀하고 과학적인 지도가 제작되었다.

⑤ 우리 언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어 언문지가 편찬되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세종 때 정초 등이 편찬한 농사직설은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최초의 농서로서 중국의 농업 기술을 수용하면서 우리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농법을 정리하였다.

서거정은 삼국 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의 시와 산문 중에서 빼어난 것을 골라 동문선을 편찬하고 우리나라의 글에 대한 자주 의식을 나타내었다.

조선 초기 집권한 훈구 세력은 관학파의 학풍을 계승하여 문물 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였다.

관학파로 불리는 이들은 성리학에만 국한하지 않고 한·당 유학, 불교, 도교, 풍수지리 사상, 민간 신앙 등을 포용하여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① 참성단에서 일월성신에 대한 제사가 거행되었다.

조선 초기 참성단에서 일월성신에 대하여 제사를 지내는 초제가 시행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동의보감이 간행되어 의학 발전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임진왜란 후 동의보감이 간행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우리의 자연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화풍이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 진경 산수화가 등장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백리척을 사용한 정밀하고 과학적인 지도가 제작되었다.

조선 후기 정상기는 동국지도에서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우리 언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어 언문지가 편찬되었다.

조선 후기 유희는 언문지를 편찬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