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20번 문제 해설이다.
20. 지도는 고려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 |
① (가)에는 중앙에서 병마사가 파견되었다.
② (가)의 확보는 고구려 계승 의식과 관련이 있다.
③ (나)에는 외적 방어를 위해 진이 설치되어 있었다.
④ (나)에는 안찰사가 파견되어 도내의 지방을 순찰하였다.
⑤ (나)에는 후삼국 통일 이전에 왕건이 점령했던 지역이 있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
(가)는 양계 중 하나인 북계, (나)는 5도 중 하나인 전라도이다.
① (가)에는 중앙에서 병마사가 파견되었다.
북방의 국경 지대에는 동계⋅북계의 양계를 설치하여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의 확보는 고구려 계승 의식과 관련이 있다.
태조는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고자 하는 의욕으로 강력한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평양을 서경으로 삼고,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적극 개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나)에는 외적 방어를 위해 진이 설치되어 있었다.
양계(북계, 동계)의 국방상의 요충지에는 진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군사적인 특수 지역이었다.
5도에는 진이 설치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나)에는 안찰사가 파견되어 도내의 지방을 순찰하였다.
5도는 상설 행정 기관이 없는 일반 행정 단위로서, 안찰사가 파견되어 도내의 지방을 순찰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나)에는 후삼국 통일 이전에 왕건이 점령했던 지역이 있었다.
왕건은 수군을 이끌고 금성(나주)을 점령하여 후백제를 배후에서 견제하는 데 큰 공을 세워 광평성 시중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