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다음은 어느 시기의 역사적 사실을 가상 대화로 꾸며본 것이다. (가)에 들어갈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신하:몇해 전 경국대전을 반포하여 나라의 기틀을 바로잡았으니, 이제는 풍속을 바로잡을 때입니다.

왕:무슨 뜻인가?

신하:요즘 형제 간에 서로 화목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불효한 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또 세금을 걷는 향리의 농간이 심해 백성들의 원성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왕:임금의 잘못은 대간(臺諫)이 단속하기 때문에 허물을 들으면 곧 고치는데, 이와 같은 아랫사람의 잘못은 어떻게 바로잡을 수 있겠는가?

신하:풍속을 바로잡는 일은 고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가)                       

① 기인 제도를 실시하십시오.

②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십시오.

③ 군현에 유향소를 설치하십시오.

④ 수령이 향약을 직접 주관하게 하십시오.

⑤ 서원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늘려 주십시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선 시대 유향소에 대한 내용이다.

 

① 기인 제도를 실시하십시오.

고려 시대 제도였던 기인 제도는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인질로 삼고, 출신지의 일에 대하여 자문을 맡게 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십시오.

조선은 수령을 지휘, 감독하고 백성의 생활을 살피기 위하여 전국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였고, 수시로 암행어사를 지방에 보내기도 하였다.

하지만 백성의 교화 업무는 맡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군현에 유향소를 설치하십시오.

조선 시대, 지방의 각 군⋅현에서는 그 곳의 양반들이 중심이 되어 유향소(뒤에 향청)를 운영하였다.

유향소에서는 수시로 향회를 소집하여 지방의 여론을 모으고, 백성들을 교화하였으며, 수령에 대한 자문과 함께 수령의 비행을 고발하는 등 오늘날의 지방 의회와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수령이 향약을 직접 주관하게 하십시오.

조선 시대, 지방 사족은 향촌 사회를 그들 중심으로 운영하기 위해 향약 조직을 만들었다.

향약은 조선 사회의 풍속 교화에 많은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수령이 직접 주관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서원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늘려 주십시오.

16세기 이후 각 지방에서 생겨나기 시작한 서원도 향약과 함께 사림의 지위를 강화시켜 주었다. 서원은 유교 윤리를 보급하고 향촌 사림을 결집,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