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국사 7번 문제 해설이다.
7. 표는 윤관의 관직 경력을 정리한 것이다. ㉠~㉤ 시기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연대 | 관직 | 품계 | |
㉠ | 문종대 | 중서문하성 습유 | 종6품 |
㉡ | 숙종 6년 6월 | 중추원 지주사 | 정3품 |
㉢ | 숙종 7년 12월 | 어사대부 | 정3품 |
㉣ | 숙종 8년 2월 | 이부상서 | 정3품 |
㉤ | 예종 3년 4월 | 문하시중 | 종1품 |
① ㉠-간쟁과 봉박, 서경을 행하였다.
②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맡았다.
③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였다.
④ ㉣-관리들의 비리를 감찰하였다.
⑤ ㉤-상서성의 최고 관직에 올랐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고려 중앙 정치 조직에 대한 내용이다.
① ㉠-간쟁과 봉박, 서경을 행하였다.
중서문하성의 3품 이하는 낭사로서, 대간으로 불렸다.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맡았다.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맡았던 것은 삼사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였다.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는 것은 중추원의 승선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관리들의 비리를 감찰하였다.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는 임무를 맡았던 곳은 어사대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상서성의 최고 관직에 올랐다.
중서문하성은 고려의 최고 관서로서, 그 장관인 문하시중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국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0번 해설 –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9번 해설 – 고구려와 당 관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8번 해설 – 관학파 참성단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7번 해설 – 지전설 실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6번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5번 해설 – 조선 정조 탕평 정치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4번 해설 – 전민변정도감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3번 해설 – 충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2번 해설 – 과전법 수조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1번 해설 – 백제 무령왕릉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0번 해설 – 조선 인구 변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9번 해설 – 고려 풍수지리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8번 해설 – 옥저 동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7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6번 해설 – 조선 후기 민영 광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5번 해설 – 금관 가야 대가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4번 해설 – 조선 후기 양반 향촌 지배 약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3번 해설 – 유향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2번 해설 – 녹읍 식읍 관료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국사 1번 해설 – 간도 귀속 문제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