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5번 문제 해설이다.
15. 지도에서 ㉠~㉣은 6∙25 전쟁의 전선 이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에서 ㉢으로 전선이 이동되는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3점]
![]() |
① 임시 수도 부산에서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② 유엔군과 공산군 사이에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③ 미국이 극동 방위선으로 애치슨 라인을 설정하였다.
④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되었다.
⑤ 국군과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계기로 반격에 나섰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6∙25 전쟁에 관한 내용이다.
① 임시 수도 부산에서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국군∙유엔군이 최대로 북진한 시기는 1950년 11월이다.
발췌 개헌안이 통과된 시기는 1952년 5월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유엔군과 공산군 사이에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휴전 회담이 시작된 시기는 1951년 1·4후퇴 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미국이 극동 방위선으로 애치슨 라인을 설정하였다.
애치슨 라인이 설정된 시기는 1950년 1월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되었다.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된 시기는 6∙25 전쟁 발발 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국군과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계기로 반격에 나섰다.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0번 해설 – 남북 협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9번 해설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8번 해설 – 남북 기본 합의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7번 해설 –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6번 해설 – 형평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5번 해설 – 6∙25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4번 해설 – 산미 증식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3번 해설 – 독도 간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2번 해설 – 임시 정부 개조파 창조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1번 해설 – 1940년대 무장 독립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0번 해설 – 서간도 연해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9번 해설 – 신간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8번 해설 – 광무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7번 해설 – 메가타 스티븐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6번 해설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5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4번 해설 – 박은식 백남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