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5번 해설 – 6∙25 전쟁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5번 문제 해설이다.

 

15. 지도에서 ㉠~㉣은 6∙25 전쟁의 전선 이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에서 ㉢으로 전선이 이동되는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임시 수도 부산에서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② 유엔군과 공산군 사이에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③ 미국이 극동 방위선으로 애치슨 라인을 설정하였다.

④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되었다.

⑤ 국군과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계기로 반격에 나섰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6∙25 전쟁에 관한 내용이다.

 

① 임시 수도 부산에서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국군∙유엔군이 최대로 북진한 시기는 1950년 11월이다.

발췌 개헌안이 통과된 시기는 1952년 5월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유엔군과 공산군 사이에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휴전 회담이 시작된 시기는 1951년 1·4후퇴 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미국이 극동 방위선으로 애치슨 라인을 설정하였다.

애치슨 라인이 설정된 시기는 1950년 1월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되었다.

조선 의용군 병사들이 귀국하여 북한군에 편입된 시기는 6∙25 전쟁 발발 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국군과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계기로 반격에 나섰다.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