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7번 문제 해설이다.
17. (가), (나) 자료와 관련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비록 우리 재화가 남의 재화보다 품질상 또는 가격상으로 개인 경제상 다소 불이익이 있다 할지라도 민족 경제의 이익에 유의하여 이를 애호하며 장려하여 수요하며 구매하지 아니치 못할지라.
(나) 민중의 보편적 지식은 보통 교육으로 능히 수여할 수 있으나 심원한 지식과 심오한 학리는 고등 교육에 기대하지 아니하면 불가할 것은 설명할 필요도 없거니와 사회 최고의 비판을 구하며 유능한 인물을 양성하려면 최고학부의 존재가 가장 필요하도다. |
① (가) - 사회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② (가) - 일본 상품의 무관세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작되었다.
③ (나) - 전국적인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④ (나) - 브나로드 운동과 병행하여 전개되었다.
⑤ (가), (나) - 실력 양성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물산 장려 운동, (나)는 민립 대학 설립 운동에 관한 내용이다.
① (가) - 사회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물산 장려 운동은 기업의 생산력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상품 가격만 올려놓는 경우가 많아 사회주의자들의 비난을 받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 - 일본 상품의 무관세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작되었다.
한국과 일본 사이의 관세가 철폐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국인 자본가들의 위기의식이 높아졌다.
이에 실력 양성 운동 차원에서 민족 산업과 자본을 보호·육성하여 민족 경제의 자립을 이루자는 물산 장려 운동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나) - 전국적인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당시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는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이 1원씩’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전국적인 모금 운동을 벌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나) - 브나로드 운동과 병행하여 전개되었다.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실패하고, 일제는 한국인의 교육열을 무마하기 위해 1924년에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다.
한편 브나로드 운동은 1931년 <동아일보>는 ‘배우자, 가르치자, 다 함께 브나로드’라는 구호 아래 전개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가), (나) - 실력 양성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실력 양성 운동은 크게 민족 기업 설립과 물산 장려 운동 등을 통한 경제적 실력 양성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과 문맹 퇴치 운동 등을 통한 교육·문화 운동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0번 해설 – 남북 협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9번 해설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8번 해설 – 남북 기본 합의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7번 해설 –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6번 해설 – 형평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5번 해설 – 6∙25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4번 해설 – 산미 증식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3번 해설 – 독도 간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2번 해설 – 임시 정부 개조파 창조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1번 해설 – 1940년대 무장 독립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0번 해설 – 서간도 연해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9번 해설 – 신간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8번 해설 – 광무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7번 해설 – 메가타 스티븐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6번 해설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5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4번 해설 – 박은식 백남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