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다음 인물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OO 문서 보관소를 방문한다고 할 때, 문서 목록에서 찾아야 할 자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갑신정변을 일으켰던 김옥균에 관한 내용이다.
① 개혁 정강에 관한 건
급진 개화파들은 갑신정변을 일으킨 후, 개화당 정부를 수립한 뒤, 14개조의 개혁 정강을 마련하였다(1884년).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교정청 설치에 관한 건
동학 농민 운동의 제1차 농민 봉기 후, 농민의 불만과 개혁 요구로 조선 정부는 이를 반영한 개혁을 추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는 교정청을 설치하고 자주적으로 개혁을 추진하려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통상 개화론자에 관한 건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는 통상 개화론자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개화 정책 추진과 재원 조달에 관한 건
김옥균은 개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일본에서 차관을 얻으려 하였으나, 차관 교섭이 실패로 끝나면서 급진 개화파의 정치적 입지가 좁아졌다
결국 김옥균을 포함한 급진 개화파는 이 틈을 타 민씨 정권을 몰아낼 계획을 세우고 일본의 군사적 지원을 받기로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일본인 문명 개화론자와의 교류에 관한 건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등은 청의 간섭을 물리쳐 자주 독립을 확립하고, 일본의 메이지 유신(문명 개화론)을 본받아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려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