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4번 해설 – 박은식 백남운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4번 문제 해설이다.

 

4. (가), (나) 자료와 관련된 역사 연구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우리 민족은 단군 성조(檀君聖祖)의 자손으로서 동해의 명승지에 자리잡고 있다. 인재의 배출과 문물의 제작에 있어서 우수한 자격을 갖추어, 다른 민족보다 뛰어난 것도 사실이다. …(중략)… 우리의 국혼(國魂)은 결코 다른 민족에 동화될 수 없다.

(나) 조선사의 계기적 변동의 법칙을 파악할 경우, 과거 몇 천 년 간의 사적(史蹟)을 살피는 것도 당연히 우리의 과제이지 않으면 안 된다. …(중략)… 나의 조선관은 그 사회 경제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본질적으로 분석, 비판, 총관하는 일에 집중되어 있다.

<보 기>
ㄱ. (가)-진단 학회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ㄴ. (가)-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우리 역사를 연구하였다.

ㄷ. (나)-민족 고유의 문화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였다.

ㄹ. (나)-한국사를 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나)는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이다.

박은식은 민족주의 사학자이고, 백남운은 사회 경제 사학자이다.

 

ㄱ. (가)-진단 학회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실증 사학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가)-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우리 역사를 연구하였다.

박은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면서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여 일제의 불법적인 침략을 규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나)-민족 고유의 문화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였다.

민족주의 사학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나)-한국사를 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사회 경제 사학자들은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