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4번 문제 해설이다.
4. (가), (나) 자료와 관련된 역사 연구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우리 민족은 단군 성조(檀君聖祖)의 자손으로서 동해의 명승지에 자리잡고 있다. 인재의 배출과 문물의 제작에 있어서 우수한 자격을 갖추어, 다른 민족보다 뛰어난 것도 사실이다. …(중략)… 우리의 국혼(國魂)은 결코 다른 민족에 동화될 수 없다.
(나) 조선사의 계기적 변동의 법칙을 파악할 경우, 과거 몇 천 년 간의 사적(史蹟)을 살피는 것도 당연히 우리의 과제이지 않으면 안 된다. …(중략)… 나의 조선관은 그 사회 경제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본질적으로 분석, 비판, 총관하는 일에 집중되어 있다. |
<보 기> |
ㄱ. (가)-진단 학회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ㄴ. (가)-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우리 역사를 연구하였다. ㄷ. (나)-민족 고유의 문화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였다. ㄹ. (나)-한국사를 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나)는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이다.
박은식은 민족주의 사학자이고, 백남운은 사회 경제 사학자이다.
ㄱ. (가)-진단 학회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실증 사학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가)-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우리 역사를 연구하였다.
박은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면서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여 일제의 불법적인 침략을 규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나)-민족 고유의 문화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였다.
민족주의 사학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나)-한국사를 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사회 경제 사학자들은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0번 해설 – 남북 협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9번 해설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8번 해설 – 남북 기본 합의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7번 해설 –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6번 해설 – 형평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5번 해설 – 6∙25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4번 해설 – 산미 증식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3번 해설 – 독도 간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2번 해설 – 임시 정부 개조파 창조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1번 해설 – 1940년대 무장 독립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0번 해설 – 서간도 연해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9번 해설 – 신간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8번 해설 – 광무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7번 해설 – 메가타 스티븐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6번 해설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5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4번 해설 – 박은식 백남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