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5번 문제 해설이다.
5. 다음 자료를 통해 학생이 추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① 갑: 1908년이 의병 전쟁의 최고조기였어.
② 을 : 의병 부대들이 각지에서 유격 전술을 전개하였어.
③ 병 : 서울 진공 작전의 실패로 각지의 의병이 급감하였어.
④ 정 : 의병의 전투력 향상은 해산 군인의 합류 때문일 거야.
⑤ 무 :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치열한 의병 활동이 전개되었어.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① 갑: 1908년이 의병 전쟁의 최고조기였어.
1908년 교전 의병 수가 가장 많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을 : 의병 부대들이 각지에서 유격 전술을 전개하였어.
행동은 점점 민첩해져서 떄로는 일본군을 우롱하는 듯한 태도로 나오기도 한다는 내용을 통해 보기의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병 : 서울 진공 작전의 실패로 각지의 의병이 급감하였어.
서울 진공 작전의 실패로 전국 각지의 의병이 급감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정 : 의병의 전투력 향상은 해산 군인의 합류 때문일 거야.
시위대 제1대대장 박승환이 자결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 부대에 합류하면서 의병 부대는 보다 조직적인 활동을 전개하게 되었고, 근대적인 무기를 갖추어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무 :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치열한 의병 활동이 전개되었어.
위 그래프에서 전라도의 교전 의병 수가 가장 많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0번 해설 – 남북 협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9번 해설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8번 해설 – 남북 기본 합의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7번 해설 –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6번 해설 – 형평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5번 해설 – 6∙25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4번 해설 – 산미 증식 계획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3번 해설 – 독도 간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2번 해설 – 임시 정부 개조파 창조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1번 해설 – 1940년대 무장 독립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0번 해설 – 서간도 연해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9번 해설 – 신간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8번 해설 – 광무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7번 해설 – 메가타 스티븐스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6번 해설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5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4번 해설 – 박은식 백남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