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6번 해설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6번 문제 해설이다.

 

6. 다음 두 조약이 당시의 경제 활동에 끼친 영향으로 적절하지않은 것은? [3점]

○ 조선 상인이 북경에서 물건을 팔고 사도록 하며, 청 상인이 조선의 양화진과 한성에 들어가서 상점을 차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 조선국 인천부의 제물포, 원산, 부산 각 항과 함께 양화진과 한성을 통상처로 하여 영국과의 무역을 허가한다.

① 개항장 객주의 활동이 점차 위축되었다.

② 관료와 중개 상인이 상회사를 설립하였다.

③ 일본 상인의 조선 무역 독점이 약화되었다.

④ 시전 상인이 외국 상점의 퇴거를 요구하였다.

⑤ 보부상단이 정부 지원으로 황국 협회를 조직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과 조·영 수호 통상 조약에 관한 내용이다.

 

① 개항장 객주의 활동이 점차 위축되었다.

청 상인들이 개항장을 근거지로 삼아 내륙 시장까지 진출하자, 중개 무역으로 성장하던 객주, 여각, 보부상 등 조선 중개 상인은 자본을 동원할 힘이 부족해져 쇠퇴해 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관료와 중개 상인이 상회사를 설립하였다.

외국 상인의 내륙 상업이 허용됨에 따라 중개 무역을 하던 객주 등의 상인들이 큰 타격을 받게 되었는데, 자본 축적에 성공한 일부 상인들은 상회사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일본 상인의 조선 무역 독점이 약화되었다.

임오군란 이후 조선 무역에서의 일본 상인들의 우위가 청 상인들의 진출로 인해 약화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시전 상인이 외국 상점의 퇴거를 요구하였다.

서울을 비롯한 조선 각지에서 청과 일본 상인의 상권 침탈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반발하여 수천 명의 서울 상인들은 철시(영업을 하지 않고 문을 닫음)하고 외국 상점들의 서울 퇴거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보부상단이 정부 지원으로 황국 협회를 조직하였다.

황국 협회는 전국의 보부상으로 조직된 단체로서, 보수 세력은 이들에게 만민 공동회가 열리는 곳에서 소란을 피우게 한 다음, 이를 빌미로 독립 협회를 해산하였다.

황국 협회는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과 조·영 수호 통상 조약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