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9번 해설 – 고려 불교 건축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19번 문제 해설이다.

 

19. 다음 계획서의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OO고등학교 답사반 탐구 활동 계획서

- 고려 시대의 불교 문화를 찾아서 -

모둠 답사 지역 탐구 주제
코끼리 경남 합천 해인사 (가)
반달곰 강원 평창 월정사 (나)
코뿔소 충북 청주 흥덕사지 (다)
독수리 충남 논산 관촉사 (라)
호랑이 전남 순천 송광사 (마)

① (가)-팔만대장경의 제작과 보존

② (나)-고려 시대 목조 건축의 구조

③ (다)-인쇄술의 발달과 금속 활자

④ (라)-거대 불상의 조성 목적

⑤ (마)-불교 결사 운동의 의미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① (가)-팔만대장경의 제작과 보존

몽골 침략으로 소실된 초조대장경을 대신하여 고종 때 대장경을 다시 만들었다.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만에 이룩한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은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존되어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나)-고려 시대 목조 건축의 구조

오대산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고려 시대에 제작되었다.

하지만 월정사 자체는 6.25 전쟁 당시 화재로 소멸되었다가 다시 지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다)-인쇄술의 발달과 금속 활자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직지심체요절(1377년)은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으로 공인받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라)-거대 불상의 조성 목적

고려 시대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과 같은 거대한 불상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마)-불교 결사 운동의 의미

고려 시대 지눌은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독경과 선 수행, 노동에 고루 힘쓰자는 개혁 운동인 수선사 결사를 제창하였다.

송광사에 중심을 둔 수선사 결사 운동은 개혁적인 승려들과 지방민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