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칠정산 향약집성방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2번 문제 해설이다.

 

2. 다음은 어떤 서적들의 서문이다. (가), (나) 서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왕께서 정흠지, 정초, 정인지 등에게 명하여 중국 역법을 연구하여 이치를 터득하게 하였다. …… 또『태음통궤』와 『태양통궤』를 중국에서 얻었는데 그 법이 이것과 약간 달랐다. 이를 바로 잡아 내편을 만들었다.

(나) 사람이 병들면 가까운 데 있는 약을 제쳐두고 멀리 중국에서 어렵게 구하였다. …… 민간의 늙은이가 한 가지 약초로도 병을 치료하여 신통한 효력을 보는 것은 그 땅에서나는 약과 병이 서로 맞아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① (가)는 중국의『시헌력』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② (가)에는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내용이 들어 있다.

③ (나)에는 유교적 애민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④ (나)는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하였다.

⑤ (가), (나)에 반영된 문화 의식은『농사직설』에도 나타나 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칠정산, (나)는 향약집성방의 서문이다.

 

① (가)는 중국의『시헌력』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세종 때에 만든 칠정산은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로 하여 만든 역법서이다.

조선 후기 김육 등의 노력으로 청나라에서 시헌력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가)에는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내용이 들어 있다.

세종 때에 만든 칠정산은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로 하여 만든 역법서로, 우리 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나)에는 유교적 애민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향약집성방 서문에 유교적 애민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나)는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하였다.

향약집성방은 우리 풍토에 알맞은 약재와 치료 방법을 개발, 정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가), (나)에 반영된 문화 의식은『농사직설』에도 나타나 있다.

세종 때 정초 등이 편찬한 농사직설은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최초의 농서로서 중국의 농업 기술을 수용하면서 우리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농법을 정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