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번 문제 해설이다.
1. 다음은 제물포항에 관한 자료이다. (가) 시기에 이 곳에서 나타난 사회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도로 인력과 물자를 수송하였다.
② 일본 화폐가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③ 국내 중개 상인의 활동이 점차 위축되었다.
④ 외국 상인에 의해 석유와 성냥이 수입되었다.
⑤ 일본인에게는 조선의 사법권이 미치지 못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제물포항은 인천에 위치해 있다
① 철도로 인력과 물자를 수송하였다.
서울-인천 간 경인선이 개통된 해는 1899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일본 화폐가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 조약의 부속 조약인 조일 수호 조규 부록(1876년)에서는 거류지 설정과 개항장에서 일본 화폐의 유통을 허용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국내 중개 상인의 활동이 점차 위축되었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1882년)과 조·일 통상 장정(1883년) 체결 이후 조선은 청과 일본 상인의 경쟁 무대가 되었다.
청과 일본 상인들이 개항장을 근거지로 삼아 내륙 시장까지 진출하자, 중개 무역으로 성장하던 객주, 여각, 보부상 등 조선 중개 상인은 자본을 동원할 힘이 부족해져 쇠퇴해 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외국 상인에 의해 석유와 성냥이 수입되었다.
개항장을 통해 석유, 성냥 등이 수입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일본인에게는 조선의 사법권이 미치지 못하였다.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1876년)을 통해 일본인에 대한 영사 재판권(치외법권)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①번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갑신정변 갑오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항일 의병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개항장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