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3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3번 문제 해설이다.

 

13. 다음 (가), (나) 운동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가) 이것을 갚으면 나라가 보존되고 이것을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은 필연적인 사실이나, 지금 국고에서는 도저히 갚을 능력이 없으며….

(나) 첫째, 조선 사람은 조선 사람이 지은 것을 사 쓰고, 둘째, 조선 사람은 단결하여 그 쓰는 물건을 스스로 제작하여 공급하기를 목적하노라.

<보 기>
ㄱ. (가)는 국산품 애용과 금주·금연을 장려하였다.

ㄴ. (나)의 영향으로 국산 직물의 판매 가격이 하락하였다.

ㄷ. (가)는 대구에서, (나)는 평양에서 시작되었다.

ㄹ. (가), (나)는 경제적 실력 양성 운동에 해당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국채 보상 운동, (나)는 물산 장려 운동이다.

 

ㄱ. (가)는 국산품 애용과 금주·금연을 장려하였다.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나)의 영향으로 국산 직물의 판매 가격이 하락하였다.

물산 장려 운동은 기업의 생산력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상품 가격만 올려놓는 경우가 많아 사회주의자들의 비난을 받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가)는 대구에서, (나)는 평양에서 시작되었다.

1907년 서상돈, 김광제의 제안으로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시작되었다.

1920년 조만식, 이상재 등이 평양에서 조선 물산 장려회를 조직하여 물산 장려 운동을 시작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가), (나)는 경제적 실력 양성 운동에 해당된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