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4번 문제 해설이다.
4. 다음 (가), (나) 국가의 경제 침탈에 대한 대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① (가)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독립협회가 좌절시켰다.
② (가)의 금융 기관 설립에 대응하여 민간 은행이 설립되었다.
③ (나)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보안회가 저지하였다.
④ (나)로의 곡물 유출을 막기 위해 함경도 감사는 방곡령을 실시하였다.
⑤ (나) 상인의 상권 잠식에 맞서 시전 상인은 상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는 조선의 삼림 채벌권을 가져갔다. 하지만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이 이를 차지했다. 1896년에는 러시아에게 이권이 있었다.
(나) 일본이 이권을 차지하였다.
① (가)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독립협회가 좌절시켰다.
러시아가 일본의 선례에 따라 저탄소(석탄 저장소) 설치를 위해 절영도의 조차를 요구하자, 독립 협회는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일본의 저탄소 철거까지 주장하여 마침내 러시아의 요구를 좌절시켰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의 금융 기관 설립에 대응하여 민간 은행이 설립되었다.
개항 직후부터 일본의 금융 기관이 침투하고, 일본 상인에 의한 고리 대금업이 성행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자본으로 은행들을 설립하였다.
최초로 설립된 조선 은행은 관료 자본이 중심이 된 민간 은행이었다.
(가) 러시아가 아니라 (나) 일본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나)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보안회가 저지하였다.
러⋅일 전쟁 때 일제가 경제적 침탈을 강화하면서 일본인에게 막대한 황무지의 개간권을 주도록 요구하자, 국민들은 적극적인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보안회는 매일 가두 집회를 열고 일제의 침략적 요구를 규탄하면서 거족적인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보안회는 국민적 호응에 힘입어 마침내 일제로 하여금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하게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나)로의 곡물 유출을 막기 위해 함경도 감사는 방곡령을 실시하였다.
1889년 함경도 관찰사 조병식은 흉년으로 인해 방곡령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일 통상 장정의 규정을 구실로 통고받은 날부터 수출 금지 일자까지 1개월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방곡령의 취소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나) 상인의 상권 잠식에 맞서 시전 상인은 상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다.
서울을 비롯한 조선 각지에서 청과 일본 상인의 상권 침탈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반발하여 수천 명의 서울 상인들은 철시(영업을 하지 않고 문을 닫음)하고 외국 상점들의 서울 퇴거를 요구하였다.
그 뒤에도 철시한 서울 상인들과 시민 수천 명이 1주일 동안 격렬하게 상권 수호 운동을 벌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6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5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4번 해설 – 열강의 이권 침탈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갑신정변 갑오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항일 의병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개항장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