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5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5번 문제 해설이다.

 

5. ㉠~㉣에 적절한 답변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안핵사 이용태가 우리를 역적으로 몰아서였소.

ㄴ. ㉡-집강소의 활동을 탄압했기 때문이오.

ㄷ. ㉢-외국 군대를 철수시키기 위해서였소.

ㄹ. ㉣-일본이 궁궐을 침범하고 내정을 간섭했기 때문이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동학 농민 운동에 관한 내용이다.

 

ㄱ. ㉠-안핵사 이용태가 우리를 역적으로 몰아서였소.

안핵사 이용태 때문이 아니라, 1894년 1월 전라도 고부 군수 조병갑이 횡포와 착취를 저지르며 농민들을 수탈했다.

농민들은 전봉준을 지도자로 하여 봉기하였다. 이를 고부 농민 봉기라고 한다.

안핵사로 파견된 이용태가 봉기에 참여한 농민들을 동학교도라는 죄목으로 잡아들이고 탄압하자 농민들은 1894년 3월 제1차 농민 봉기를 일으켰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집강소의 활동을 탄압했기 때문이오.

1984년 1월 고부 농민 봉기로 해산했던 농민들은 1894년 3월 안핵사로 파견된 이용태가 봉기에 참여한 농민들을 동학교도라는 죄목으로 잡아들이고 탄압하자 농민들이 제1차 농민 봉기하여 백산에서 봉기했다.

집강소는 제1차 농민 봉기의 결과로 설치된 자치 기구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외국 군대를 철수시키기 위해서였소.

제1차 농민 봉기가 발생하자 정부는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청에 원군을 요청하였고, 이 틈을 이용하여 일본은 톈진 조약을 구실로 조선에 군대를 보냈다.

전주성 점령을 한 농민군은 외세가 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서둘러 정부와 화약을 맺었다. 이를 전주 화약이라고 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일본이 궁궐을 침범하고 내정을 간섭했기 때문이오.

제1차 농민 봉기 후, 청이 조선에 파병하게 되자, 일본도 톈진 조약을 구실로 조선에 군대를 보내어 마침내 청⋅일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조선 정부는 청⋅일 양국에 철병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무시하고 경복궁을 점령하고 내정 간섭을 하였다.

일본군이 청일 전쟁을 일으키면서 내정 간섭하자, 농민군은 제2차 봉기 봉기하여 외세를 몰아 내기 위하여 서울로 진격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