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13번 문제 해설이다.
13. 그림에서와 같은 업무를 수행한 고려 시대 관원들의 또 다른 직무의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
① 뇌물을 주고 벼슬을 얻은 관원의 임명장에 서명하지 않았다.
② 판사의 품계를 상향 조정하는 법안 개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③ 근무 성적이 나쁜 관원을 정기 인사 때 지방으로 좌천시켰다.
④ 특산물의 추가 진상을 지시한 왕명이 옳지 않다고 반박하였다.
⑤ 왕이 자주 민가에서 유흥을 즐기자 그러면 안 된다고 간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에 대한 내용이다.
어사대는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는 임무를 맡았다.
어사대의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대간으로 불렸다.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① 뇌물을 주고 벼슬을 얻은 관원의 임명장에 서명하지 않았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판사의 품계를 상향 조정하는 법안 개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근무 성적이 나쁜 관원을 정기 인사 때 지방으로 좌천시켰다.
보기의 내용은 어사대와 대간의 업무가 아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특산물의 추가 진상을 지시한 왕명이 옳지 않다고 반박하였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왕이 자주 민가에서 유흥을 즐기자 그러면 안 된다고 간하였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07학년도 9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6번 해설 – 의상 화엄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5번 해설 – 신문왕 무열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4번 해설 – 단군 고조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3번 해설 – 대간 어사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2번 해설 – 홍경래의 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1번 해설 – 조선 후기 상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0번 해설 – 사설 시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9번 해설 – 최승로 시무 28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8번 해설 – 대동법 공인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7번 해설 – 영조 균역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6번 해설 – 사신도 광개토 대왕릉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5번 해설 – 조선 전기 신분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4번 해설 – 토지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분청사기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고려 백성 생활 모습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기록으로서의 역사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