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분청사기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다음 보고서에 나타난 공예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담백함과 순백의 고상함을 풍겨 선비들이 애용하였다.

②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들여 11세기경에 이르러 독자적인 색깔을 구현해 냈다.

③ 그윽한 색과 다양한 형태를 지녔으며, 전라도 강진·부안이 생산지로 유명하다.

④ 소박하고 천진스러운 무늬가 어우러져 있으며, 16세기부터 점차 그 생산이 줄어들었다.

⑤ 나전칠기나 은입사 공예에서 사용된 기술을 응용하여 무늬를 새겼으며, 12세기 중엽에 나타났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선시대 분청사기에 대한 내용이다.

 

① 담백함과 순백의 고상함을 풍겨 선비들이 애용하였다.

조선의 백자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들여 11세기경에 이르러 독자적인 색깔을 구현해 냈다.

고려자기는 신라와 발해의 전통과 기술을 토대로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들여 귀족 사회의 전성기인 11세기에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그윽한 색과 다양한 형태를 지녔으며, 전라도 강진·부안이 생산지로 유명하다.

고려의 청자는 자기를 만들 수 있는 흙이 생산되고 연료가 풍부한 지역에서 구워졌는데, 전라도 강진과 부안이 유명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소박하고 천진스러운 무늬가 어우러져 있으며, 16세기부터 점차 그 생산이 줄어들었다.

분청사기는 안정된 그릇 모양과 소박하고 천진스러운 무늬가 어우러져 정형화되지 않으면서 구김살 없는 우리의 멋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분청사기는 16세기부터 세련된 백자가 본격적으로 생산되면서 점차 그 생산이 줄어들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나전칠기나 은입사 공예에서 사용된 기술을 응용하여 무늬를 새겼으며, 12세기 중엽에 나타났다.

고려 시대에 청동기 표면을 파내고 실처럼 만든 은을 채워 넣어 무늬를 장식하는 은입사 기술이 발달하였다.

또한 옻칠한 바탕에 자개를 붙여 무늬를 나타내는 나전 칠기 공예가 크게 발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