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4번 해설 – 3·1 운동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4번 문제 해설이다.

 

14. 다음 자료와 관련된 운동의 영향으로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3⋅1 운동은 고종이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민중의 반일 감정이 고조된 상태에서 1919년 3월 1일 탑골 공원에 모인 학생과 시민들이 독립 선언서를 발표한 후, 거리에 나가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평화적으로 만세 시위가 시작되었다.

 

ㄱ.

3·1 운동을 계기로 복벽주의가 약화되고 공화주의가 우세하였다. 그 결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3·1 운동을 계기로 민족 지도자들은 비폭력 항일 운동으로는 독립을 쟁취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고, 조국 광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무장 독립 전쟁의 조직적인 전개가 지름길임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3⋅1 운동 후 독립 운동을 체계적으로 조직할 지도부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여러 지역에서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각지의 임시 정부를 통합한 후, 민주주의에 입각한 근대적 헌법을 갖추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이동휘를 국무총리로 추대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을사늑약 체결 이후, 나철, 오기호 등은 5적 암살단을 조직하여 을사 5적의 집을 불사르고 일진회를 습격하는 등 매국노를 처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