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9번 해설 – 의열단 한인 애국단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9번 문제 해설이다.

 

9. 다음 활동을 한 (가), (나)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가)는 단원들을 중국의 군관 학교에 파견하여 간부 훈련을 받게 하였다.

② (가)의 활동으로 중국 국민당 정부는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중국 내에서 무장 투쟁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③ (나)는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④ (나)의 강령은 정치적, 경제적, 교육적 균등을 실현한다는 삼균주의에 기초하였다.

⑤ (가)와 (나)의 갈등으로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노선 대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김원봉의 의열단, (나)는 김구의 한인 애국단의 활동에 관한 내용이다.

 

① (가)는 단원들을 중국의 군관 학교에 파견하여 간부 훈련을 받게 하였다.

의열단은 1920년대 후반부터 개인 폭력 투쟁에 한계를 느끼고 조직적인 항일 무장 투쟁으로 노선을 바꾸었다.

의열단원들은 중국 황푸 군관 학교에 입학하여 정규 군사 훈련을 받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의 활동으로 중국 국민당 정부는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중국 내에서 무장 투쟁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한국 애국단의 윤봉길 의거, 이봉창 의거로 인해 중국의 한국인에 대한 감정은 크게 호전되었으며,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나)는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 한국광복군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나)의 강령은 정치적, 경제적, 교육적 균등을 실현한다는 삼균주의에 기초하였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가)와 (나)의 갈등으로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노선 대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1920년대 초 대한민국 임시 정부 내에서 독립운동 노선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다.

임시 정부를 해체하고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자는 창조파와 임시 정부의 조직만 바꾸자는 개조파의 대립이 존재했다.

의열단과 한인 애국단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