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6번 문제 정답

문제

문 16. 다음 글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초기 국가의 정치적 특징을 옳게 추론한 것은?

  • 부여에는 왕 아래에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의 관리가 있었고, 이들은 각기 자기들의 소국을 다스리면서 중앙 관직을 겸하였다.
  • 고구려는 왕 아래에 대가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를 거느리고 독립된 세력을 유지하였다.
  • 삼한은 목지국의 왕이 전체를 지배하였으나, 실제로는 신지, 견지, 부례, 읍차 등의 지배자가 따로 있었다.

①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귀족 회의를 통하여 처리하였다.

② 정치 조직을 정비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모습을 갖추었다.

③ 부족 연맹체적 성격을 띤 국가로 관료 조직은 성립하지 못하였다.

④ 왕권은 미약하였으나 관리를 파견해 지방 부족을 통제 관리하였다.

 

 

 

 

 

 

 

 

 

 

 

 

참고: 부여, 고구려의 성립, 삼한

정답은 ①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7년도 국가직 7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