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8번 문제 정답

문제

문 8. 다음 자료와 관계가 깊은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대저 정치하는 요령은 그 강이 하나 있고 그 목이 10개가 있습니다. 강이란 것은 체이니 정치를 하는 본령이오, 목이란 것은 용이니 정치를 마련하는 법입니다. … 일강이란 무엇을 이름인가. 군주의 마음가짐입니다. 서정의 번잡함과 만민의 수효가 많음도 치란휴척의 기틀은 군주의 마음에 근본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그런 까닭으로 군주의 마음이 바르면 만사가 다스려지고 인심이 순하여 화기가 돌며, 군주의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만사가 배루되고 인심이 순하지 못하여 악기가 올 것이니 필연적인 이치입니다. 옛날 성인이 왕위에 있을 적에 하늘을 본받아 정치를 하게 되니 마음이 정대광명하여 천리의 공에 순수하고 인욕의 누가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미한 데서부터 현저한 데로 이르게 되고 안에서 밖으로 미치게 되어, 밝고 환하여 사욕사심의 가림이 없었으므로 기강이 위에서 서고 교화가 아래서 밝아졌습니다. ⋯ 여기서 임금의 마음가짐을 바로잡는 요령도 반드시 학문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것을 알 것입니다.

-회재집-

<보 기>
ㄱ. 이언적은 성학군주론을 거론하였다.

ㄴ. 16세기 중엽 이후 이황과 이이에 이르러 두 경향의 성학군주론이 일어났다.

ㄷ. 정치의 성패와 인생의 향방은 군주의 일심과 마음가짐 여하에 달린 문제로 본다.

ㄹ. 군주가 성학을 익혀 성인 군주나 현철 군주가 될 것을 요구하는 정치 운영론의 성격을 지녔다.

① ㄱ, ㄷ, ㄹ

② ㄴ,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참고: 조선 전기 성리학의 발달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7년도 국가직 7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