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문 8. 다음 자료와 관계가 깊은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대저 정치하는 요령은 그 강이 하나 있고 그 목이 10개가 있습니다. 강이란 것은 체이니 정치를 하는 본령이오, 목이란 것은 용이니 정치를 마련하는 법입니다. … 일강이란 무엇을 이름인가. 군주의 마음가짐입니다. 서정의 번잡함과 만민의 수효가 많음도 치란휴척의 기틀은 군주의 마음에 근본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그런 까닭으로 군주의 마음이 바르면 만사가 다스려지고 인심이 순하여 화기가 돌며, 군주의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만사가 배루되고 인심이 순하지 못하여 악기가 올 것이니 필연적인 이치입니다. 옛날 성인이 왕위에 있을 적에 하늘을 본받아 정치를 하게 되니 마음이 정대광명하여 천리의 공에 순수하고 인욕의 누가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미한 데서부터 현저한 데로 이르게 되고 안에서 밖으로 미치게 되어, 밝고 환하여 사욕사심의 가림이 없었으므로 기강이 위에서 서고 교화가 아래서 밝아졌습니다. ⋯ 여기서 임금의 마음가짐을 바로잡는 요령도 반드시 학문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것을 알 것입니다.
-회재집- |
<보 기> |
ㄱ. 이언적은 성학군주론을 거론하였다.
ㄴ. 16세기 중엽 이후 이황과 이이에 이르러 두 경향의 성학군주론이 일어났다. ㄷ. 정치의 성패와 인생의 향방은 군주의 일심과 마음가짐 여하에 달린 문제로 본다. ㄹ. 군주가 성학을 익혀 성인 군주나 현철 군주가 될 것을 요구하는 정치 운영론의 성격을 지녔다. |
① ㄱ, ㄷ, ㄹ
② ㄴ,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참고: 조선 전기 성리학의 발달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7년도 국가직 7급 한국사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2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3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4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5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6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7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8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9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0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1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2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3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4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5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6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7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8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9번 문제 정답
- [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20번 문제 정답
한국사 시험 모음
- 경찰 순경 한국사 시험
- 경찰 간부후보생 한국사 시험
- 국가직 7급 한국사 시험
- 국가직 9급 한국사 시험
- 국회직 9급 한국사 시험
- 기상직 7급 한국사 시험
- 기상직 9급 한국사 시험
- 법원직 9급 한국사 시험
- 서울시 7급 한국사 시험
- 서울시 9급 한국사 시험
- 소방직 한국사 시험
- 소방 간부후보생 한국사 시험
- 의무소방원 한국사 시험
- 우정 9급 계리직 한국사 시험
- 지방직 7급 한국사 시험
- 지방직 9급 한국사 시험
- 지역인재 9급 한국사 시험
- 해경 순경 한국사 시험
- 해경 간부 한국사 시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