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9급 한국사 국책형 9번 문제 정답

문제

문 9. 다음의 격문이 나타나게 된 사회적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가 의를 들어 이에 이름은 그 본의가 다른 데 있지 아니하고 창생을 도탄에서 건지고 국가를 반석 위에 두고자 함이다. 안으로는 탐학한 관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는 횡포한 강적의 무리를 몰아내고자 함이다. 양반과 호강(豪强)의 앞에서 고통을 받는 민중들과, 방백 및 수령의 밑에서 굴욕을 받는 소리(小吏)들은 우리와 같이 원한이 깊은 자이다. 조금도 주저치 말고 이 시각으로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해도 미치지 못하리라.

① 명성 황후 시해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심이 팽배하였다.

② 친위대와 진위대를 신설하여 군사력을 증강하였다.

③ 일본의 경제적 침략에 대한 농민들의 적개심이 확산되었다.

④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을 계기로 항일 의식이 강화되었다.

 

 

 

 

 

 

 

 

 

 

 

참고: 동학 농민 운동

정답은 ③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7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