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학 연구
실학의 발달과 함께 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우리의 역사, 지리, 국어 등을 연구하는 국학이 발달하였다.
역사
이익
이익은 실증적이며 비판적인 역사 서술을 제시하고,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 우리 역사를 체계화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민족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안정복
이익의 제자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저술하여 이익의 역사 의식을 계승하였다.
동사강목
고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서술한 것으로, 우리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을 세워 이를 체계화하였다. |
이긍익
이긍익은 조선 시대의 정치와 문화를 정리하여 연려실기술을 저술하였다.
한치윤
한치윤은 500여 종의 중국 및 일본의 자료를 참고하여 해동역사를 편찬하여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 데 이바지하였다.
이종휘과 유득공
이종휘는 동사에서 고구려 역사 연구를 하였다.
유득공은 발해고에서 발해사 연구를 심화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신라의 통일은 불완전한 것이고, 북쪽에 발해가 있었으므로 이를 남북국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한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을 극복하는 데 힘썼다.
지리서
국토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여 우수한 지리서가 편찬되었다.
한백겸
역사 지리서로 한백겸의 동국지리지가 나왔다.
정약용
역사 지리서로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등이 나왔다.
이중환
인문 지리서로 이중환의 택리지가 편찬되었다.
이 책은 자연과 인간 생활의 관계를 인과적으로 이해하려고 한 점에서 주목된다.
택리지
각 지역의 자연 환경과 물산, 풍속, 인심 등을 서술하고, 어느 지역이 살기 좋은 곳인가를 논한 책 |
지도
중국에서 서양식 지도가 전해짐에 따라 정밀하고 과학적인 지도가 많이 제작되었다.
정상기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다.
김정호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산맥, 하천, 포구, 도로망의 표시가 정밀하고, 거리를 알 수 있도록 10리마다 눈금이 표시되었으며, 목판으로 인쇄되었다.
국어
신경준
신경준의 음운 연구서인 훈민정음운해가 나왔다.
유희
유희의 음운 연구서인 언문지가 나왔다.
이의봉
우리의 방언과 해외 언어를 정리한 이의봉의 고금석림이 편찬되었다.
백과 사전
조선 후기에는 실학이 발달하고 문화 인식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백과 사전류의 저서가 많이 편찬되었다.
이수봉
이 방면의 효시가 된 책은 이수광의 지봉유설이다.
이익
이익의 성호사설
이덕무
이덕무의 청장관전서
서유구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이규경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동국문헌비고
영⋅정조 때에는 국가적 사업으로 동국문헌비고가 편찬되었는데, 이 책은 우리 나라의 역대 문물을 정리한 한국학 백과 사전이다.
기타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을 지어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조선 후기 국학 연구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국학 연구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국학 연구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조선 후기
- 한국사 이론 전체
- 조선 후기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