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경
경제의 변동과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사족 중심의 향촌 질서도 변화하였다.
평민과 천민 중에 재산을 모아 부농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있었으며, 양반 중에는 토지를 잃고 몰락하여 전호가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임노동자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었다.
향전 발생
향촌 사회 내부에서 양반이 지녔던 권위가 점차 약해졌고, 새롭게 등장한 부농층(신향)과 기존 사족(구향)이 향촌 사회의 지배권을 두고 향전이 발생했다.
기존 양반층의 영향력 유지 노력
동약 실시
양반은 군현을 단위로 농민을 지배하기 어렵게 되자, 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거나 족적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자기들의 지위를 지켜 나가고자 하였다.
서원과 사우 건립
전국에 많은 동족 마을이 만들어지고, 문중을 중심으로 서원, 사우가 많이 세워졌다.
부농층의 도전
경제력을 갖춘 부농층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과 결탁하여 향안에 이름을 올리는가 하면, 향회를 장악하여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려 하였다.
납속과 향직 매매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부농층의 성장 욕구는 재정 위기를 타개하고자 하는 정부의 이해와 일치하여 정부도 이들을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정부는 납속이나 향직의 매매를 통하여 이들 부농층 성장의 합법적인 길을 열어 주기도 하였다.
향임직 진출
부농층은 종래의 재지 사족이 담당하던 정부의 부세 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향임직에 진출하거나 기존 향촌 세력과 타협하면서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여 갔다.
향임직(鄕任職)
향촌에 있는 향청(유향소)에서 일을 보는 사람이나 그 직책을 말한다. |
결과
수령과 향리의 관권 강화
종래의 재지 사족의 힘이 약화되고, 부농층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향촌 세력의 힘이 충분히 강해지지 못한 가운데 조선 후기 향촌 사회에서는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이 강화되고 아울러 관권을 맡아 보고 있던 향리의 역할이 커졌다.
종래에 재지 사족인 양반의 이익을 대변하여 왔던 향회는 주로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에 의견을 물어 보는 자문 기구로 구실이 변하였다.
곧, 수령 중심의 국가 권력이 향촌 사회에 깊숙이 침투하여 재지 사족이 지배하고 있던 영역을 장악해 나갔다.
농민 수탈
관권의 강화는 세도 정치 시기에 정치 기강이 무너지는 상황 속에서 수령과 향리의 자의적인 농민 수탈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조선 후기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조선 후기
- 한국사 이론 전체
- 조선 후기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