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1∼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조선 시대 소설은 표기 문자에 따라 한자로 ㉠ 표기한 한문소설과 한글로 표기한 한글소설, 두 가지로 나뉜다. 한문소설은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 조선의 한글소설을 ㉡ 번역한 한문소설로 나뉜다. 그리고 한글소설은 중국소설을 번역한 한글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을 번역한 한글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글소설로 나뉜다. 조선 시대에 많은 한글소설이 창작되어 읽혔지만, 이를 저급한 오락물로 여겼던 당대의 지식인들은 한글소설을 외면했으므로 그에 관해 ㉢ 기록한 문헌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반면에 이들은 한문소설, 특히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을 즐겨 읽고 이에 관한 많은 기록을 남겼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은 조선에서도 인쇄된 책으로 읽혔기 때문에 필사본이 거의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은 필사본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의 필사본 소설은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데, 한문소설을 ㉣ 필사한 경우는 이본별 내용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한글소설을 필사한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한글소설은 같은 제목의 소설이라도 내용이 상당히 다른 다양한 이본이 있었다. 이는 한문소설의 독자는 문자 그대로 독자였던 것에 비하여 한글소설의 독자는 독자이면서 이야기를 개작하는 작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한자에 비해 한글은 익히기 쉽고 그만큼 쓰기도 편해서 한글소설의 필사자는 내용을 바꾸고 싶다는 의지가 있다면 쉽게 바꿀 수 있었다. 한글소설은 인쇄본이 아니라 필사본으로 많이 유통되었기 때문에 (가) 옮겨 쓰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본이 생겨났다. 조선 시대 소설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소설을 표기한 문자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표기 문자는 소설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설의 감상 및 유통, 이본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11. 윗글에서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조선 시대의 소설은 한글소설보다 한문소설의 종류가 훨씬 다양했다.
② 조선 시대의 지식인들은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을 저급한 오락물로 여겼다.
③ 한자로 필사할 때보다 한글로 필사할 때 필사자의 의견이 반영되어 개작되기 쉬웠다.
④ 조선의 필사본 소설 중 한문소설을 필사한 것은 소수였고 한글소설을 필사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2. 윗글의 ㉠~㉣ 중 문맥상 (가)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
② ㉡
③ ㉢
④ ㉣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11번 문제 해설
① 조선 시대의 소설은 한글소설보다 한문소설의 종류가 훨씬 다양했다.
반면에 이들은 한문소설, 특히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을 즐겨 읽고 이에 관한 많은 기록을 남겼다. |
한문소설을 즐겨 읽은 기록을 많이 남겼다는 내용은 언급되지만, 조선 시대의 소설이 한글소설보다 한문소설의 종류가 훨씬 다양했는지는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조선 시대의 지식인들은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을 저급한 오락물로 여겼다.
조선 시대에 많은 한글소설이 창작되어 읽혔지만, 이를 저급한 오락물로 여겼던 당대의 지식인들은 한글소설을 외면했으므로 그에 관해 ㉢ 기록한 문헌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
한문소설이 아닌 한글소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한자로 필사할 때보다 한글로 필사할 때 필사자의 의견이 반영되어 개작되기 쉬웠다.
한글소설은 같은 제목의 소설이라도 내용이 상당히 다른 다양한 이본이 있었다. 이는 한문소설의 독자는 문자 그대로 독자였던 것에 비하여 한글소설의 독자는 독자이면서 이야기를 개작하는 작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한자에 비해 한글은 익히기 쉽고 그만큼 쓰기도 편해서 한글소설의 필사자는 내용을 바꾸고 싶다는 의지가 있다면 쉽게 바꿀 수 있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조선의 필사본 소설 중 한문소설을 필사한 것은 소수였고 한글소설을 필사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문소설은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 조선의 한글소설을 ㉡ 번역한 한문소설로 나뉜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은 조선에서도 인쇄된 책으로 읽혔기 때문에 필사본이 거의 없다. |
한문소설은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 조선의 한글소설을 번역한 한문소설로 나뉘는데, 이 중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은 조선에서도 인쇄된 책으로 읽혔기 때문에 필사본이 거의 없다고 언급된다.
하지만 나머지 한문소설인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과 조선의 한글소설을 번역한 한문소설의 필사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12번 문제 해설
조선 시대 소설은 표기 문자에 따라 한자로 ㉠ 표기한 한문소설과 한글로 표기한 한글소설, 두 가지로 나뉜다. 한문소설은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 조선의 한글소설을 ㉡ 번역한 한문소설로 나뉜다. 그리고 한글소설은 중국소설을 번역한 한글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을 번역한 한글소설, 조선에서 창작한 한글소설로 나뉜다. 조선 시대에 많은 한글소설이 창작되어 읽혔지만, 이를 저급한 오락물로 여겼던 당대의 지식인들은 한글소설을 외면했으므로 그에 관해 ㉢ 기록한 문헌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반면에 이들은 한문소설, 특히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을 즐겨 읽고 이에 관한 많은 기록을 남겼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소설은 조선에서도 인쇄된 책으로 읽혔기 때문에 필사본이 거의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조선에서 창작한 한문소설은 필사본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의 필사본 소설은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데, 한문소설을 ㉣ 필사한 경우는 이본별 내용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한글소설을 필사한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한글소설은 같은 제목의 소설이라도 내용이 상당히 다른 다양한 이본이 있었다. 이는 한문소설의 독자는 문자 그대로 독자였던 것에 비하여 한글소설의 독자는 독자이면서 이야기를 개작하는 작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한자에 비해 한글은 익히기 쉽고 그만큼 쓰기도 편해서 한글소설의 필사자는 내용을 바꾸고 싶다는 의지가 있다면 쉽게 바꿀 수 있었다. 한글소설은 인쇄본이 아니라 필사본으로 많이 유통되었기 때문에 (가) 옮겨 쓰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본이 생겨났다. |
(가)의 ‘옮겨 쓰는’은 필사의 의미를 갖는다.
㉣이 문맥상 (가)의 의미와 가장 가깝다.
정답은 ④번이다.
2025 국가직 9급 국어 문제 해설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번 문제 해설 – 공공언어 바로 쓰기 원칙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2번 문제 해설 – 청소년 아르바이트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3번 문제 해설 – 복합어 어근 접사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4번 문제 해설 – 전통적 독자층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5번 문제 해설 – 가청 주파수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6번 문제 해설 – 롤러블 TV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7번 8번 문제 해설 – 내온동물 외온동물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9번 10번 문제 해설 – 이집트 벽화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1번 12번 문제 해설 – 한글소설 필사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3번 문제 해설 – 언어의 자의성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4번 문제 해설 – 국어 표준 발음법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5번 문제 해설 – 설명회 홍보 포스터 명제논리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6번 문제 해설 – 인공일반지능 명제논리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7번 문제 해설 – 제주도 출장 명제논리 논리퀴즈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8번 문제 해설 – 도시 이외 지역 초중고 교사 강화 약화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9번 문제 해설 – 과학 발전 단계 강화 약화
- 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20번 문제 해설 – 선로 스위치 딜레마
관련 문서
- 국가직 9급 국어 해설 모음
- 9급 명제논리 해설 모음
- 9급 논리퀴즈 해설 모음
- 9급 정언논리 해설 모음
- 9급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9급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5급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

